면역질환·감염병

취약계층 결핵 환자, 동반질환 있고 주거환경 불안정할수록 치료 성공률 ↓

pulmaemi 2022. 2. 10. 14:23

국립중앙의료원·중앙대 공동 연구팀, 결핵안심벨트 사업 대상 137명 분석

 

[메디컬투데이=이재혁 기자] 취약계층 결핵 환자는 동반질환이 있고 주거 형태가 불안정할수록 치료 성공률이 낮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립중앙의료원과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및 의과대학 공동 연구팀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결핵안심벨트 지원사업’ 치료비 지원을 받은 환자 137명의 자료를 토대로 취약계층 결핵 환자의 치료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연구 결과 논문을 대한내과학회지(KJM)에 게재했다.

정부는 국립중앙의료원을 책임기관으로 10개 공공의료기관이 참여하는 노숙인, 미등록 외국인, 다문화가정 등 저소득 및 취약계층 결핵 환자의 치료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결핵안심벨트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결핵 발생률과 사망률은 감소하는 추세이나 취약계층 결핵 환자 치료비 지원자 수는 2017년에 비해 2019년 3.8배 증가한 상황이다. 다만 연구팀은 2018년부터 사업에 대한 홍보로 치료 기회를 얻은 환자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먼저 조사 대상자 137명의 개인요인과 치료 형태요인을 살펴보면 여성이 16명(11.7%), 남성이 121명(88.3%)이었으며 연령별로는 40~50대가 82명(59.9%)로 가장 많았다. 국적은 내국인 87명(63.5%), 외국인 50명(36.5%)이었다.

결핵 종류는 폐외결핵이 7명(5.1%), 폐결핵 130명(94.9%)이었고, 내성 유무의 경우 내성 없음이 104명(75.9%), 내성 있음이 33명(24.1%)으로 집계됐다.

동반질환은 하나도 없는 환자가 41명으로(29.9%) 가장 많았고, 이어 1개 44명(32.1%), 3개 이상 28명(20.4%), 2개 24명(17.5%) 등의 순이었다.

주거 형태는 독거 84명(61.3%), 동거(시설, 일터, 지인 집)가 28명(20.4%), 노숙 25명(18.2%)등으로 확인됐다.

치료형태는 외래 87명(63.5%), 입원(종합병원, 결핵전문병원, 요양병원)이 50명(36.5%)이었다.

이어서 치료 결과를 살펴보면 전체 조사 대상자 137명의 치료 성공률은 65%다.

성별에 따른 치료 성공률은 남자 65%, 여자 63%로 남녀가 비슷했다. 연령에 따른 치료 성공률은 40~59세 74%, 60세 이상 51%, 20~39세 50%의 순이었다.

국적에 따른 치료 성공률은 내국인이 68%로 외국인(52%)에 비해 높았다.

결핵 종류에 따른 치료 성공률은 폐외결핵이 71%, 폐결핵이 65%, 내성결핵 여부에 따른 성공률은 내성이 없는 경우 67%, 내성이 있을 경우 58%로 나타났다.

동반질환 수에 따른 치료 성공률은 질환이 없는 경우가 83%로 가장 높았고, 3개 이상에서 46%로 가장 낮았다.

주거형태에 따른 치료 성공률은 동거 86%, 독거 62%, 노숙 52% 순이었으며 치료 형태에 따라 외래에서 69%, 입원에서 58%의 성공률을 보였다.

연구팀은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동반질환 수, 주거 형태, 국적이 취약계층에서의 결핵 치료 성공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평가됐다”며 “사망자의 영향을 비교해 보기 위해 사망자를 제외한 중단 환자만을 분석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역시 동일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연구팀은 “동반질환이 없는 환자보다 동반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치료 성공 가능성이 낮게 관찰된 것은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건강보험에서 결핵과 관련이 없는 동반질환은 현재 산정특례적용이 되지 않고 있어 저소득층 결핵 환자에게는 치료비 부담으로 인해 치료 적기를 놓쳐 치료 성공률이 낮아지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주거형태에서 동거보다 독거와 노숙이 치료 성공률이 낮은 것에 대해서는 “노숙인이나 불안정한 주거에서 혼자 거주하는 취약계층 결핵 환자의 경우 결핵시설의 입소가 치료 성공에 유리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연구팀은 “동반질환이 있는 취약계층 결핵 환자의 관리가 강조돼야 하며, 주거 형태가 불안정한 독거·노숙인 결핵 환자의 경우 결핵 환자시설로의 입소를 지원하기 위한 지역사회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메디컬투데이 이재혁 기자(dlwogur93@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