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화 사회

남성 晩婚사례, 여성보다 심화

pulmaemi 2009. 12. 11. 07:17

결혼연령 늦어지고 기혼여성 저출산 현상 지속

평균결혼연령 남성 32.1세·여성 30.6세

 

 미혼자 중 결혼을 하겠다는 응답이 남성은 지난 '05년 82.5%에서 올해는 75.7%, 여성은 같은 기간  73.5%에서 73.1%로 나타나는 등 결혼을 하지 않거나 결혼을 미루는 경향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미혼여성에 비해 미혼남성의 결혼의향이 일반적으로 높음에도 불구, 최근의 글로벌 경제위기에 따른 고용불안정의 영향으로 남성의 경우가 하락률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주목된다.
 

 보건복지가족부는 지난 '05년에 이어 두번째로 실시한 이 같은 내용의 '20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동향 조사결과'를 11일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열리는 학술세미나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조사는 보건사회연구원이 올 6-7월 전국 1만211 표본가구의 20-44세 기혼여성 3585명과 미혼남녀 3314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남성이 평균 32.1세, 여성이 30.6세에 결혼하겠다는 의사를 보여 결혼계획 연령도 늦춰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를 많이 낳지 않으려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 '자녀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비율이 54.4→24.3%(남), 42.1→24.0%(여)로 많이 감소했고, 미혼남녀의 기대자녀수도 줄어 한 자녀에 대한 선호도(여성 : 15.5%→28.5%)는 높아진 반면 두자녀 이상을 원하는 비율은 낮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기혼여성(20∼44세)의 평균 출생아수가 감소(1.77명→1.66명)하고 있으며, 특히 중산층 가구가 출산을 꺼리는 경향이 두드러진 것으로 드러났다.
 

 소득이 전국가구 월평균소득의 100∼140%(3인가구 기준: 월345만원∼483만원)인 가구의 평균 출생아수가 타 소득수준의 가구에 비해 가장 낮았는데 이는 중산층이 자녀를 잘 키우려는 욕구는 매우 강한 반면, 이를 위한 투입비용은 지나치게 커서 출산을 포기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중략)
 

 가사 및 육아는 맞벌이 여하에 상관없이 부인이 주로 전담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정 내에서 양성평등이 이루어지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그간 추진해온 정책에 대해 자녀보육·교육비지원(84%), 방과후교육지원(72%) 등 경제적 지원책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으나, 일-가정 양립, 주택공급 지원제도 등에 대해서는 아직 인식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양육비 경감 등에 대해서는 상당히 만족(80% 수준)하고 있으나 근로형태 유연화, 양성평등 문화조성에 대해서는 불만족(불만족도: 56∼61%)하다고 느끼고 있어 향후 이 부분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요구된다.
 

 앞으로 희망하는 대책에 대해서는 자녀보육∼교육비 지원(55%), 일-가정 양립(17%), 주거지원(9%)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번 결과를 볼 때 저출산을 극복하기 위해선 비혼·만혼현상 완화, 중산층 지원확대, 일-가정 양립, 다자녀 우대책을 2자녀 가정까지 적용하는 등 다각적인 정책추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정부는 이번 조사결과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홍성익 기자 (hongsi@bo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