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 대상 관리 위한 데이터베이스도 구축해야"
[메디컬투데이 김민준 기자]
정부가 시행 중인 대사증후군 사후관리 사업와 같은 특정질환 사후 관리 서비스가 의미 있는 효과를 보이지 못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가건강검진의 효율적 실시를 위한 심층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보고서를 공개했다.
분석 결과, 고혈압과 당뇨, 이상지질혈증에서 검진을 통해 질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합병증을 감소시켜 최종적으로 사망률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환별로 살펴보면, 고혈압은 5년 전체 사망률이 수검자가 2.86%인 반면에 미수검자는 수검자보다 8% 높은 10.87%를 기록했다.
당뇨와 이상지질혈증의 5년 전체 사망률은 모두 미수검자가 수검자보다 10% 가량 사망률이 더 높았고, 빈혈과 간 질환 역시 5년 전체 사망률이 각각 11%와 8% 등 미수검자가 수검자보다 10% 내외 더 높게 집계됐다.
합병증에 의한 5년간 전체 사망률은 미수검자가 수검자 보다 각각 ▲간질환 2.36배 ▲신장질환 4.03배 ▲빈혈 3.11배 ▲결핵 3.26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사후관리로, 대사증후군 사후관리 사업 효과 분석 결과에 따르면 ▲생활습관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질병발생 및 사망 등에서 통계적·임상적으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이상소견이 있다 하더라도 치료를 위한 의료기관 방문으로 이어지는 2차 검진과 치료 연계 등이 느슨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일반 질환은 그러한 경향이 더욱 두드러졌다.
연구팀은 “대사증후군 사후관리 사업의 경우, 검진 결과를 알려주는 것보다 추가적으로 사후관리에 따라 개선되는 효과를 관찰하기 어려웠으며 데이터베이스가 분석자료를 추출하기 어려운 구조였다”고 지적했다.
이어 “고위험 대상군이 이들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해 구축할 필요성과 검진 후 사후 관리를 위한 체계를 확대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연구팀은 “현재 공단의 사후관리 서비스는 대사증후군 안내문 발송, 건강상담, 건강 LMS 서비스, 건강문고 제공 등으로 구성돼 있고, 위험군을 우선해 집중 관리하고 있으나, 전문인력이 아닌 한계점이 있어 담당자를 17시간의 교육 후 상담에 투입하는 등의 질관리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의 효과가 낮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연구는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민우 연구팀이 수행했다.
메디컬투데이 김민준 기자(kmj6339@mdtoday.co.kr)
'생활습관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사증후군 유병률, 12년간 꾸준히 증가…"생활습관 개선해야" (0) | 2021.04.30 |
---|---|
암-당뇨-파킨슨병 관통하는 핵심 신호 전달 경로 밝혀져 (0) | 2021.04.19 |
노년 행복 위해 관절·인지력 저하 등 퇴행성 질환들 미리 챙겨야 (0) | 2021.01.19 |
올바른 생활습관으로 관절염·인지력 저하도 개선한다 (0) | 2021.01.19 |
나의 ‘생활습관병’은?…예방과 관리가 필요한 당뇨병 (0) | 2021.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