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유산균 섭취와 평소 식습관으로 건강한 마이크로바이옴 유지 가능
[메디컬투데이 김준수 기자]
코로나 3차 대유행으로 면역력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면역력이란 외부에서 들어오는 병원균에 저항할 수 있는 힘을 말한다. 우리 몸에서 면역 세포가 가장 많은 부분은 장이다. 장 내에는 우리 몸 면역세포의 70% 이상이 분포하고 있어 장 건강을 지키는 것만으로도 우리 몸의 면역력을 키울 수 있다.
면역력을 키우기 위해 프로바이오틱스의 섭취가 중요하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유산균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유산균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들은 타 브랜드와의 차별점으로 유산균 제품이 함유한 총균수의 양을 강조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일부 소비자들은 유산균 제품이 가진 총균수가 많을수록 성능이나 품질이 좋을 것이라는 맹목적인 믿음을 갖게 됐다.
그렇다면 총균수가 많은 유산균 제품일수록 면역력 증진에 더 도움이 될까? 다수의 전문가들은 유산균의 수보다 중요한 것은 장내에 서식하는 미생물 환경에 따라 본인의 몸에 맞는 유산균을 섭취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장내 미생물은 200조가 넘는데 억단위의 유산균 수는 의미가 크지 않다는 것.
유산균은 유산균 자체로 면역력을 키워 준다기 보다는 장내 미생물 생태계를 변화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최근에 의학계에서 면역력 유지를 위해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바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이다. 마이크로바이옴이란 인간의 몸에 서식하며 공생하는 미생물 생태계를 뜻하는 것으로, 장내 미생물은 면역체계 유지 뿐 아니라 다양한 신체활동, 영양분 소화 및 흡수, 질병 발생에 관여한다. 이 때문에 마이크로바이옴은 건강의 핵심이라고도 불린다.
사람마다 살아온 환경이 다른 것처럼 사람마다 장내 미생물 생태계도 모두 다르다. 장내 미생물 생태계는 사는 지역, 식습관, 약물 복용 여부, 운동 여부, 연령 등 여러 가지의 요인들을 바탕으로 구성된다. 즉 마이크로바이옴에 따라 필요한 유산균도 다르기 때문에 장 분석을 통한 진단이 더욱 중요하다. 장 건강을 위해서는 장 내 미생물의 공생 관계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고, 건강한 공생 관리는 유익균과 유해균의 적정 비율 유지와 미생물의 종류를 다양하게 만드는 것이다.
마이크로바이옴 전문 기업 쎌바이오텍은 최근 NGS(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장내 미생물 분석을 바탕으로 한 장 건강관리 프로그램 ‘쎌바이옴’을 출시했다. 쎌바이옴은 장내 미생물을 분석한 후 듀오락 유산균을 섭취하면서 장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쎌바이옴은 검사 의뢰에 필요한 서류를 작성한 후 자신의 분변을 보내면 유전자 분석을 통해 장내 미생물 상태 결과를 보내준다. 결과에는 장내 미생물의 다양성과 균등도, 유익균과 유해균 지수, 식약처에서 인정한 19종의 프로바이오틱스 분포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장 상태를 면밀하게 분석할 수 있으며, 부족한 부분은 진단받고 내 몸에 필요한 제품을 제대로 고를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유산균 제품을 선택할 때에도 한국인의 마이크로바이옴과 관련된 제품을 고르는 것이 좋다. 제품이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임상데이터를 바탕으로 한국인의 장에서 분리한 유산균이라면 한국인에게 맞을 확률이 더 높다.
자신에게 맞는 유산균 섭취와 동시에 더욱 건강한 마이크로바이옴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평소 식습관 역시 매우 중요하다. 한국 전통 식품 중 김치와 된장과 같은 발효 식품과 마늘, 양파, 고추 등 매운 향신료 등은 장내 다양한 미생물 균총이 장내에 정착하도록 도와준다. 발효식품과 함께 섬유질이 많은 콩류, 오메가 3 함유량이 높은 생선, 식이섬유가 많이 든 미숫가루 등의 곡물 역시 장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된다.
메디컬투데이 김준수 기자(junsoo@mdtoday.co.kr)
'장내 세균 & 프로바이오틱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내 세균과 식이, 건강과의 밀접한 관련성 밝혀져 (0) | 2021.01.22 |
---|---|
장 박테리아, 당뇨 치료에도 도움 (0) | 2021.01.11 |
장내 미생물, 수면의 질에 영향 미친다 (0) | 2020.12.28 |
장내 세균, 비타민D 활성화에 결정적 역할한다 (0) | 2020.12.11 |
물만 먹어도 살이 찐다? ‘뚱보균’ 없애야 요요현상 걱정 줄인다 (0) | 2020.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