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건강

고령층 전체임플란트 시술, 똑똑하게 받는 방법은?

pulmaemi 2020. 1. 15. 15:00

[메디컬투데이 김준수 기자] 

노화 및 외상, 치주 질환 등으로 인해 자연 치아가 모두 소실된 고령층 사례가 많다. 치아 부재로 음식물 섭취, 발음 등이 어려워 일상생활 속 불편을 겪는 것이다. 이때 자연 치아 기능을 최대한 살린 전체임플란트 시술을 고려할 수 있다.


과거에는 자연 치아 상실 시 대처법으로 틀니를 고려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틀니는 기본적인 저작 기능 회복 및 발음 정확도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탈착식 기구다.

하지만 자연 치아와 비교할 때 틀니의 저작력이(씹는힘)이 미약하여 환자 만족도가 낮았다. 게다가 치조골 흡수가 계속 진행되면서 잇몸이 내려앉아 일정 기간마다 틀니를 새로 제작해야 하는 등 불편함이 존재했다. 

전체임플란트는 이러한 틀니의 단점을 개선하는 치료법으로 주목 받고 있다. 인공으로 제작한 뿌리(치근)을 식립하여 자연 치아와 유사한 기능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실제로 임플란트는 자연 치아 대비 90% 정도의 저작 기능을 갖췄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심미성도 비슷해 육안으로 자연 치아와 구분하기 어렵다.

임플란트는 치아 뿌리에 해당하는 인공치근과 지대주(나사), 그리고 보철물로 구성돼 있다. 인공치근(뿌리)을 심은 뒤 지대주를 연결한 다음 그 위에 보철물을 씌우는 원리다.

중요한 점은 전체임플란트라고 하여 모든 치아 위치에 인공치근을 식립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정밀 검사를 시행한 뒤 담당 치과 의사 판단 아래 저작력과 심미성 모두를 고려하여 필요한 만큼의 인공치근 수를 선정한 뒤 식립하는 방식이다.

일례로 전체임플란트 시행 시 위 치아는 약 8개, 아래 치아는 약 6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한 뒤 치아 모양의 보철물을 그 사이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무엇보다 높은 난이도를 요구하는 시술이기 때문에 숙련된 전문의의 풍부한 임상경험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교합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기술력을 필요로 한다.

전체임플란트 치료 대상인 고령층 특성 상 잇몸뼈가 소실되어 잇몸뼈가 부족한 사례도 부지기수다. 치조골 흡수가 지속적으로 이뤄져 잇몸뼈가 부족한 경우다.

이때 인공치근이 튼튼하게 식립될 수 있도록 뼈이식을 해야 한다. 빈 부위에 뼈이식재를 보충한 다음 임플란트 수술하는 방법이다. 뼈이식재는 합성골과 동종골, 이종골, 자가 치아골 등이 있다. 

▲김대현 원장 (사진=안산 인플란트치과 제공)



안산 인플란트치과 김대현 원장은 "전체임플란트와 뼈이식임플란트는 입, 턱, 얼굴 등 해부학적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에 구강악안면외과 출신 의료진의 협진이 매우 중요하다"고 전했다. 

또한 "고령층의 임플란트는 시술 후 사후관리도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전하면서 연 1~2회의 스케일링, 꼼꼼한 양치질, 치실 및 치간 칫솔 등을 활용한 치태·치석 예방, 금주 및 금연, 이를 악무는 습관 또는 딱딱한 음식 섭취 지양하기 등을 실천해야 튼튼하고 안전한 임플란트 관리가 가능하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수술 후 약 1년 정도는 3~6개월에 1회 정도 치과에 내원해 이상 여부를 체크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메디컬투데이 김준수 기자(junsoo@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