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코·귀·피부

머리 염색 후 피부 알러지 진단 받아도 71% "사용 지속"머리 염색 후 피부 알러지 진단 받아도 71% "사용 지속"

pulmaemi 2018. 7. 5. 15:28

[메디컬투데이 조용진 기자] 

머리 염색약에 의한 접촉 알러지(Hair dye contact allergy, HDCA)의 임상적 특징과 양상을 연구한 결과가 발표됐다. 

서울성모병원 피부과 이준영·한주희 교수팀이 2009년 7월부터 2015년 3월 서울성모병원 등 가톨릭의대 부속병원에서 피부반응검사로 확인 된 염색약 알러지 환자 105명을 분석했다. 후향적 진료기록 검토와 인터뷰를 통해 임상증상, 징후, 연관 피부질환, 접촉피부염 발생 부위, 염색약 사용 패턴을 확인했다.

또한 염색약 성분 중 접촉피부염을 유발하는 물질로 알려진 PPD(파라페닐렌디아민)노출 시간, PPD 양성도와 염색약 알러지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염색약 알러지는 50세 이상에서 더 흔하게 관찰되었다. 환자가 호소한 가장 흔한 증상은 가려움증이고, 따끔따끔한 느낌, 건조함 등의 증상이 그 뒤를 이었다. 

가장 흔하게 관찰되는 병변은 홍반성 반점과 반(편평한 병변)이었으며, 구진/판(피부가 솟아 오른), 각질 또는 짓물이 함께 관찰됐다. 

가장 흔하게 증상이 발생한 부위는 얼굴 부위로 환자 중 57.1%에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발생한 부위는 두피, 목, 몸통(배와 등), 손 등 이었다. 

염색약 사용시간(연간 염색횟수 x 해)이 많을수록 염색약 알러지 발생 범위가 넓어지는 경향을 보여, 알러지가 전신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환자의 대부분인 80%가 염색약 알러지가 있음을 이미 인지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피부반응검사를 통해 염색약 알레르기 진단이 확정 된 후에도 환자의 28.6 %만이 염색약 사용을 중단했다.  

염색약은 많은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화학제품 중 하나이다. 흰머리를 염색하거나 머리색을 바꾸는 염색약은 보편화 되어, 한국인구에 63.8%가 염색을 한 경험이 있다는 조사도 있다.  

PPD는 염색약의 성분 중 접촉피부염을 유발하는 가장 중요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검은색을 내기 위해 염색약에 첨가하지만, 농도가 높을수록 피부에 강한 자극을 줄 수 있으며 알레르기가 발생된 가능성도 높아진다. 

머리 염색약에 의한 접촉 알레르기는 임상적으로 다양하게 관찰된다. 전형적인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병변을 보이는 것 뿐만 아니라 가려움증 등으로 인하여 피부를 계속해서 긁거나 비벼 피부가 두꺼워지고 거칠어지는 만성단순태선 병변, 가려워서 긁으면 피부가 부어 오르는 두드러기인 피부묘기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염색약 알레르기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사전 테스트를 통해 안정성을 점검하는 것이 좋다. 면봉에 염색약을 발라 팔 안쪽이나 귀 뒤쪽에 묻힌 다음 48시간 동안 피부 반응을 살핀다. 염색약이 흘러 옷에 묻을 수 있으므로 1회용 밴드 거즈 부분에 염색약을 발라 붙이면 편리하다. 간지럽거나 붓거나 진물이 흐르는 등 이상이 없을 시 염색을 하는 것이 좋다.  

이준영 교수는 “염색약 알러지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임상 증상 및 알러지 항원 회피 교육이 중요하며,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거나 스테로이드 제제 연고가 피부 가려움증을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염색약 사용 후 이상반응 시 민간요법으로 대처하지 말고 피부과 전문의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피부과학회에서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Annals of dermatology’ 6월호에 게재됐다.    
메디컬투데이 조용진 기자(jyjthefake@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