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질환·감염병

성묘와 추수 등 야외활동 후 발진·두통·발열…가을철 열성질환 의심

pulmaemi 2017. 9. 18. 12:57

치료시기 늦어질 경우 합병증 또는 심하면 사망


[메디컬투데이 손성우 기자] 

날씨가 점점 선선해 지면서 최근 야외활동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확산되고 있는 가을철 열성질환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쯔쯔가무시병은 국내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급성 발열 질환으로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균라는 리케차가 털 진드기의 매개로 인체에 감염돼 혈액과 림프를 통해 전신에 발열과 혈관염을 유발한다. 

지난 2004년 이후 연간 4~5000명 이상 발생되고 있으며 지난해 1만1105명이 발생하는 등 발병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90% 이상이 늦가을인 10월과 11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추석을 전후로 성묘를 가는 9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10월에 절정을, 11월부터는 감소하기 시작한다. 

지역적으로 전북, 경남, 충남 및 전남에서 주로 발생하며 농촌에 쪼그리고 밭일하는 노인 여성이 많다 보니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호발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농업 종사자뿐만 아니라 야외 활동이 있는 다양한 대상자에게 감염이 확산되는 추세를 보인다.

잠복기는 일반적으로 1주에서 3주이며 갑자기 시작되는 오한, 발열, 두통에 이어서 기침, 구토, 근육통, 복통 및 인후염이 동반될 수 있다. 발병 3-7일에 주로 몸통에서 시작하여 상하지에도 퍼지는 발진이 나타날 수 있는데 발생 1-2주일 정도에 소실된다. 

진드기 유충이 문 자리는 직경 5-20mm 가량의 검은 딱지가 형성되는데 이는 비슷한 임상양상을 가진 렙토스피라병, 신증후출혈열을 진단하는데 중요하다. 

치료를 하지 않더라도 대부분의 환자는 2주 이상 고열이 지속되다 서서히 회복되지만 일부 환자는 다 장기 기능부전증, 쇼크, 뇌증, 호흡부전, 신부전 등의 합병증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있다.  

현재 쯔쯔가무시병에 효과적인 백신은 없으므로 예방을 위해서는 진드기에 물리지 않게 주의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풀밭에 앉거나 눕는 것을 피하고, 노출을 피할 수 없다면 야외 활동 시 긴소매 옷을 착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렙토스피라병은 동물과 사람에 공통으로 감염되는 병으로 렙토스피라균에 의해 감염된 개, 소, 돼지 등의 소변이 배설돼 흙, 지하수, 개울, 논둑 물, 강을 오염시켜 오염된 물질에 노출되어 생기는 급성 열성 전신성 감염질환이다. 

유행지역은 전남, 전북, 경기, 충북이고, 환자의 82%가 9월부터 11월 사이에 분포한다. 지난 2010년부터 지난해 사이 발생한 남녀 환자비는 2.1:1이었고 40대 이상이 79.2%이었으며, 추수기의 벼 베기 작업 활동에 노출된 농부들에게 발생하고 있다. 

임상 양상과 중증도는 가벼운 감기 증상에서부터 치명적인 질환까지 매우 다양하고, 잠복기도 짧게는 2일, 길게는 30일까지 보고된다. 발병 초기 대부분 갑작스러운 두통, 근육의 통증과 압통, 오한, 발열이며, 구토, 점막과 피부의 일시적인 발진, 결막의 심한 발적과 눈부심 등이 동반되며 객혈도 나타날 수 있다. 

일부 감염의 5%에서 10%는 중증의 황달, 신부전, 출혈 등을 보이는 중증의 Weil씨병으로 진행하며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치료는 대증적인 치료와 항생제 치료이다. 예방을 위해 가축 키우는 환경을 깨끗하게 관리하며, 사람은 오염된 곳에서 수영을 하지 않도록 하고, 오염된 환경에서 작업을 할 때 긴 바지, 장화, 장갑 등을 반드시 착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치명률이 높은 열성질환 신증후군 출혈열은 매년 300명에서 400여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치명률이 높은 열성질환으로, 우리나라 들쥐의 72~90% 차지하는 등줄쥐를 숙주로 하는 한탄바이러스가 원인이며, 주로 추수기인 9월말에서 10월 중순에 많이 볼 수 있다. 

잠복기는 평균 2주에서 3주이며, 증상이 전혀 없는 경우에서 사망에까지 이른다. 질병관리 본부에서 보고한 바에 따르면 재작년에는 총 384명 신증후군 출혈열 환자가 발생했고 사망률은 1.8%였다. 주된 사망 원인은 급성호흡곤란증후군, 폐출혈, 패혈증, 쇼크, 뇌병증 등으로 알려졌다. 

주된 증상은 발열, 오한, 두통, 요통, 근육통 등이며, 발열, 출혈 증상, 신부전의 특징적인 소견을 보인다. 또한, 안명홍조, 결막충혈, 겨드랑이와 연구개의 점상출혈을 흔히 관찰할 수 있고 특징적으로 양측 늑골척추각압통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에는 의식저하나 경련 등 신경학적 이상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일산백병원 감염내과 송제은 교수는 "치료는 각 병기에 따른 적절한 대증요법뿐이라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야외활동을 삼가고 쥐의 배설물에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좋다"며 "사람들 사이에서 전염되는 것은 아니므로 환자를 격리할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다.    
메디컬투데이 손성우 기자(mipi306@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