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 박종헌 기자]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5년 한해 53만8000명이 넘는 환자가 뇌졸중으로 진료 받았다. 뇌졸중은 한번 발생하면 치료 후에도 신체적․심리적으로 여러 가지 합병증과 후유증을 가져올 수 있어 사후 관리가 중요하다.
뇌졸중 후유증으로 실어증이 온 환자에게 말을 잘 못한다고 짜증을 내고 재촉하면 오히려 더 위축되고 우울증까지 올 수 있다. 뇌졸중으로 인한 합병증과 후유증은 치료를 통해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가 치료의지를 갖고 힘든 치료를 이겨낼 수 있도록 가족들의 따뜻한 관심과 보살핌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한림대학교한강성심병원 신경외과 김유환 교수는 “실어증이 온 환자에게 짜증을 내거나 답답해하면 환자는 위축되어 말하는 것을 더 어려워하게 된다. 따라서 말하는 것을 많이 들려주고 여러 가지 방식으로 의사소통을 시도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입 속과 목 부분의 근육이 마비되면 음식을 씹거나 삼키는 것을 잘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억지로 음식을 먹이면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 폐렴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또 다른 증상으로 운동마비가 나타날 수 있다. 신체부위가 마비돼 처음에는 축 늘어지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뻣뻣해진다. 보통 운동마비는 다리 쪽보다 손에 더 심하게 오며 회복도 더딘 편이다. 운
동마비가 심해지면 팔, 다리가 뻣뻣해지고 한 방향으로 굳어지는 경직 현상이 올 수 있고 심한 경우 관절까지 굳어버리는 관절구축도 나타날 수 있다.
신경외과 황교준 교수는 “뇌졸중 환자의 경직과 구축을 막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이 꾸준히 관절을 움직여줌으로써 굳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뇌졸중 환자에게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흔한 감정변화로 우울감이 있다. 뇌손상으로 인해 뇌 속의 기분이나 감정을 제어하는 부분이 영향을 받아 우울 상태를 만들기 쉽기 때문이다. 우울감이 있는 환자에게 핀잔을 주면 증세가 더욱 악화되므로 일반적인 질병의 한 과정임을 이해하고 지지해줘야 한다.
김 교수는 “먼저 환자가 다른 사람과 감정을 나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대화를 통해 외로움을 감소시킬 수 있고 가족과 친구로부터 격려 받는다고 느끼게 된다”며 “뉴스 보기, 산책, 취미활동 등을 통해서 외부세계에 관심을 갖고 삶의 활력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특히 부정적인 것보다는 긍정적인 것을 강조하여 환자가 실망감이나 실패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환자가 뇌졸중에 대해서 배우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김 교수는 “자신의 질병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음으로써 불필요한 불안과 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환자가 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구분하여 한계를 인정하고 기대감을 낮춤으로써 실망감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메디컬투데이 박종헌 기자(pyngmin@mdtoday.co.kr)
'정신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인의 고질병 ‘불면증’ 올바른 예방·치료법은? (0) | 2017.06.26 |
---|---|
'강박충동장애' 뇌 속 염증과 연관 (0) | 2017.06.23 |
'수면무호흡증+불면증' 남성 우울증 발병 위험 높아 (0) | 2017.06.21 |
불면증, 하지 불안증과 유전적 원인 같다 (0) | 2017.06.19 |
살 안찌고 싶으면 주말에라도 늦잠 주무세요 (0) | 2017.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