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 김혜인 기자]
국내 연구진이 전 세계 다국가 연구를 통해 선천성 대동맥 이첨판막 협착증 환자들에서의 스텐트 치료 효과를 처음으로 입증했다.
28일 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 박승정, 박덕우, 안정민 교수팀에 따르면 유럽, 북아메리카, 아시아 등 전 세계 20개의 심장센터에서 지난 2005년 4월부터 2015년 5월까지 대동맥판막 스텐트 시술을 받은 대동맥 이첨판막 협착증 환자 301명의 인공판막 스텐트 치료 후 경과를 분석해 이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대동맥판막은 3개로 갈라진 삼첨판이지만 선천적으로 2개로만 갈라져 있는 경우 대동맥 이첨판막이라고 하며, 정상 대동맥판막처럼 나이가 들어 노화되면 잘 열리고 닫히지 않는 대동맥판막협착증이 발생하게 된다.
교수팀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기존의 수술적 치료가 불가능하거나, 어려웠던 고령의 중증 판막질환 환자들에게 높은 치료 성적을 보이며 안전한 치료법으로 자리 잡은 대동맥판막 스텐트시술이 선천성 대동맥 이첨판막 협착증에서도 효과적이었다.
특히 최신 3세대 인공판막 스텐트 시술을 받은 환자들의 경우, 시술 성공률이 92%에 달해 기존 인공판막 스텐트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천성 대동맥 이첨판막은 어렸을 때 판막이 잘 닫히지 않거나 혈액이 역류하는 등의 대동맥판막 질환으로 치료받기도 하지만, 특별한 기능적인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정상 대동맥판막처럼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대동맥판막이 노화되고 석회화되는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는데, 중증으로 진단되면 거의 치료방법이 없었지만 최근에는 많은 환자들이 대동맥판막 스텐트 시술로 치료를 받고 있다.
대동맥판막 스텐트 시술은 가슴을 절개해 판막을 교환하는 기존의 수술과는 달리 대퇴부에 있는 혈관을 따라 풍선을 판막까지 도달하게 한 다음, 좁아져 있는 판막 사이를 풍선으로 부풀린 후 판막 역할을 할 수 있는 스텐트를 대동맥판막에 고정시키는 방식이다.
박승정 교수팀의 이번 연구에 참여한 선천성 대동맥 이첨판막 환자의 평균 나이는 77세였으며, 판막의 노화로 인해 협착증이 심해져 인공판막 스텐트 시술로 판막을 교체했다.
전체 301명 중 기존 1·2세대 인공판막 스텐트를 삽입한 199명과 최신 3세대 인공판막 스텐트를 삽입환 환자 102명을 비교한 결과, 인공 스텐트판막 교체 후 혈액 누출의 발생 이 최신 스텐트에서는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지만 기존 스텐트에서는 8.5%에서 발생했다.
이는 시술 성공률에도 영향을 미쳐 3세대 스텐트에서는 시술 성공률이 92.2% 였지만, 기존 스텐트에서는 성공률이 80.9%에 그쳤다. 그 외 사망률, 혈관이나 신장 합병증 발생률 등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민 교수는 “대동맥 이첨판막 협착증 치료는 아직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이번 인공판막 스텐트 시술에 대한 효과 연구가 향후 대동맥 이첨판막 협착증 치료의 방향성을 제시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박승정 교수는 “이미 유럽이나 미국 등에서 대동맥판막 스텐트 시술에 관한 치료와 연구가 아시아보다 월등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이 대동맥 이첨판막 협착증 환자에서의 스텐트 시술의 치료 효과를 세계적인 연구를 통해 처음 규명해내는 성과를 올렸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임상 연구와 새로운 치료법 개발을 통해 대동맥판막협착증 치료 분야에서도 전 세계를 선도하는 심장센터로 명성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동맥 이첨판막 협착증에서의 스텐트 치료 효과를 분석한 이번 연구는 전 세계 심장학 분야 최고 저널인 미국심장학회지(JACC, 인용지수 17.759) 최신 호에 게재됐다.
메디컬투데이 김혜인 기자(hyein@mdtoday.co.kr)
'뇌·심혈관계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우나 일주일에 4번 이상 하면 치매 66% 예방 (0) | 2017.01.03 |
---|---|
딱 붙는 바지에 부츠 신었더니…다리가 저리고 붓는다 (0) | 2017.01.02 |
심장 연관 사망 휴일에 더 흔히 발생 (0) | 2017.01.02 |
단일 '후각검사' 알츠하이머질환 진단 정확도 높인다 (0) | 2016.12.27 |
“유산소-무산소 운동 병행, 치매증상 개선에 가장 효과적” (0) | 2016.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