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환경성질환, 안전

시민 불안감 가증시키는 원자력 기관들 ‘뭇매’

pulmaemi 2016. 11. 1. 13:19
원자력연구원 여러 방사성 물질 방출·원자력안전위 민간 검증 일방적 삭제


         
[메디컬투데이 김동주 기자] 


대전에 위치한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여러 방사성 물질을 최근 몇년간 방출했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원자력 관련 기관들이 뭇매를 맞고 있다.


정의당 추혜선 의원은 원자력연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1년부터 2015년까지 하나로 원자로(원자로실·RCI·RIPF/IMEF·보조)에서 크립톤 약 10조432억 베크렐, 삼중수소 20조7400억 베크렐이 방출됐다고 31일 밝혔다.

파괴시험을 시행하는 조사후 시험시설에서는 크립톤 3조8700억 베크렐, 세슘 6만7200 베크렐이 방출된 것으로 집계됐다. 방사성폐기물 처리시설에서는 세슘 13만5000 베크렐이 방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난 5년간 20만 베크렐의 세슘이 원자력연구원의 굴뚝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 것이다.

또 원자력연구원은 1987년에서 2013년 사이에 총 21차례에 걸쳐 부산 고리원전·영광 한빛원전·울진 한울원전 등에서 운반되어진 사용 후 핵연료로 이미 파괴시험을 시행한 사실이 드러났다. 20차례에 걸쳐 파괴시험을 한 핵연료봉의 개수는 현재까지 124봉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원자력연구원은 “조사후 시험시설에서 방사선 차폐구조물을 갖춘 핫셀(hot cell)로 파괴시험을 수행하기 때문에 방사성 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크립톤의 경우 핵연료를 태울 때 생성되는 불활성 기체로 포집할 수 없는 물질. 삼중수소는 방출하게 되면 인체에 들어와서 내부피폭을 일으키는데 내부피폭은 ICRP(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에서 평가하는 것보다 훨씬 더 위험한 피폭유형이다.

세슘의 경우 핵연료봉이 손상되거나 핵실험을 할 때 발생되는 방사성 물질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세슘에 대한 위험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원자력연구원은 원자력안전위원회가 고시한 ‘배출관리기준치’를 넘지 않기 때문에 안전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추 의원은 대전 시민들이 원자력과 방사능에 대해 느끼는 불안은 원전 주변에 살고 있는 주민들 못지않은데도 원자력연구원은 굴뚝으로 방출되는 방사성 물질의 종류와 양을 공개하지 않고 있어 시민들의 불안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추혜선 의원은 “방사성 물질이 배출관리 기준치 이하여서 안전하다는 주장은 말 그대로 ‘관리기준치’일 뿐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안전기준’이 아니다”라며 “원자력연구원이 기준치 이하의 방사성 물질 배출은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파이로 프로세싱 실증시험을 내년부터 진행한다면 이는 150만 대전 시민의 안전을 무시한 처사”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2011년 원자력연구원의 하나로 원자로에서 백색비상이 발령된 바 있고 최근에는 내진설계가 적용되지 않는 건물에 방사능폐기물을 보관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나 시민들이 불안해하고 있다”며 “내진성능 보강은 물론 안전성 검증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파이로 프로세싱 실증시험을 진행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같은날 국민의당 신용현 의원은 “지난 27일 원자력안전위원회 60차 회의 안건보고에서 월성1호기와 고리원전의 스트레스테스트 민간 검증 내용을 일방적으로 삭제했다”며 “이는 원자력안전위원회 45차 회의에서 이미 보고한 사항을 지키지 않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 의원은 “제60차 원자력안전위원회 회의 보고자료를 보면 투명성 확보 관련 자료 중 지역 주민 협의 등의 내용만 담기고 민간검증단 이야기는 빠졌다”며 “이미 합의된 내용을 원안위가 원안위원과의 협의나 토론도 없이 일방적으로 삭제했다. 이러한 일방통행식 의사결정과 밀실행정이야말로 원전 안전의 큰 걸림돌”이라고 꼬집었다.  
메디컬투데이 김동주 기자(ed30109@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