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환자 치료 후 사회 복귀 부정적 인식 높아…“정부 지원 필요”

pulmaemi 2016. 6. 3. 15:13

건강관리 위한 병가제도, 탄력적 업무 시간 등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암 경험자의 치료 이후 사회 복귀에 대해 부정적 인식이 높아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충북대학교병원 박종혁 교수팀과 국립암센터 김종흔, 양형국, 심혜영 박사팀은 우리나라 일반인 2000명을 대상으로 암 경험자 사회복귀에 대한 대국민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암 경험자 직장복귀 태도에 관한 인식 문항에서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이 높았다. ‘통증으로 작업 능력이 떨어질 것이다’(70.4%), ‘집중력과 기억력이 떨어져 업무성과가 좋지 않을 것이다’(60.9%), ‘치료 이후 우울증으로 업무가 전반적으로 힘들 것이다’(57.0%), ‘암경험자는 일에 대한 자신감이 약할 것이다’(55.3%) 등 부정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암경험자 직장복귀 인식에 이러한 부정적인 태도에 미치는 요인은 거주지역, 월소득, 간병 경험이 원인으로 풀이된다.

특히, 간병 경험이 있을수록 부정적 태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는데, 간병이라는 시점이 대부분 진단 후 1~2년 기간이며 집중적 치료 시점이므로, 불안, 우울 등의 디스트레스에 대한 지지 서비스가 제때 제공되거나 관리되지 않고 남아 있어 암 생존자의 기능 회복·사회적 역할, 직장복귀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하지만 암경험자와 직장에서 같이 일을 하겠는지에 대한 수용성 질문에는 대부분, 업무조정이나 근무여건이 조성되면 같이 근무하겠다고 대답해 정부가 암 경험자의 사회복귀에 대한 정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실제로 ‘암환자 동료가 일반인처럼 일할 수 있도록 근무 환경을 조정’(88.0%), ‘암경험자 동료가 승진하는 것에 찬성’(79.4%), ‘직장에 암환자 동료를 위한 휴게실 마련’(76.4%), ‘암경험자 동료가 일할 때 일반인과 동등한 승진기회를 주어야 할 것’(73.7%) 등 문항에 긍정적 답변이 높았다.

▲박종혁 교수 (사진=충북대병원 제공)


박종혁 교수는 “암경험자들이 다시 사회에 복귀할 때 가족, 직장, 사회의 인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미국의 사례처럼 ‘국가암경험자의 날’을 만들어 인식 전환의 계기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추후 건강관리를 위한 병가제도 마련, 탄력적인 업무 시간 배려 등 제도적인 뒷받침도 마련돼야 하며, 앞으로 암경험자의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 실제 암경험자들의 기능회복을 위해 암경험자들의 신체정신적인 증상을 완화하고 지지해 주는 지지의료 정책이 강화돼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우리나라는 조기 암 검진과 치료기술 향상으로 5년 암 생존율이 69.4%에 달하고 있다. 국가암등록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 10년 암경험자 수는 137만 명으로 많은 수의 암경험자들이 일상 사회로 돌아가서 암 이후의 삶을 살아가고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