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전 검사율 여성의 1/5 수준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임신 전 관리를 목적으로 병원을 찾은 여성 중 남성 배우자가 함께 상담을 받은 비율은 5쌍 중 1쌍에 불과했다. 또 비뇨기과 진료를 받은 남성들 중에서 2명 중 1명꼴로 정액검사 이상 소견을 보였다.
제일의료재단 제일병원 비뇨기과 최진호 교수·산부인과 한정열 교수팀이 2011~2014년 제일병원에서 임신 전 관리를 목적으로 진료한 여성 26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들 중 23.5%(61명)의 배우자만이 임신 전 상담을 위해 비뇨기과를 찾은 것으로 확인됐다.
정액검사 이상 소견은 45.9%(28명)에서 확인됐고, 비임균성 요도염 원인균 감염은 29.5%(18명), 남성 난임의 주요 원인인 정계정맥류는 18%(11명), 염색체 이상은 1.6%(1명)에서 진단됐다.
연구팀은 실제 진료를 받은 남성이 소수임을 감안할 때 병원을 찾지 않은 남성으로 범위를 넓힐 경우 건강한 임신을 저해하는 원인을 가진 남성이 훨씬 많을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정부가 지난 2013년 발표한 체외수정시술 난임 원인 분석 결과를 보면 여성요인이 31.3%에 이르는데 반해 남성 요인은 6.2%에 그쳐 여전히 남성에 대한 진단과 치료가 미흡한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원인을 알 수 없는 요인을 제외하면 여성·남성 요인이 각각 반반에 이른다는 의학적 보고와는 상반된 결과다.
여성의 나이가 많아지면 생식능력이 떨어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정액 역시 남성의 연령이 증가하면서 사정량과 운동성, 정자의 수 등이 감소한다.
한국 남성의 초혼 연령은 만 32.8세(2014 통계청)로 1994년 28.6세에 비해 20 년 새 4.2세나 높아졌다.
결혼 연령이 높아지면서 질병, 유해약물, 작업환경에서 발생하는 독성물질, 부적절한 생활습관 등 정액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노출되는 시간 역시 길어지는 것도 남성이 반드시 임신 전 관리를 받아야 하는 이유로 꼽힌다.
고혈압치료제, 전립선비대증 및 탈모치료제, 항진균제 등도 정자의 형성 및 질 자체를 떨어뜨릴 수 있다고 전문의들은 말한다.
또 스테로이드 함유 단백질 보충제는 고환위축, 무정자증 등 치명적인 부작용을 유발하며, 유기용제 등의 화학물질 및 중금속 함유 물질이 포함될 수 있는 수제가구 만들기, 도자기 제작, 사격 등도 생식기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임신계획이 있다면 중단을 검토해야 한다.
최진호 교수는 “임신 전 남성관리에 대한 인식이 현저히 떨어지는 상황에서 대다수의 남성들은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봐야한다”며 “임신이 안 돼 병원을 찾은 후에는 이미 건강한 상태로 되돌리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위험요인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대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임신 전 남성 관리는 임신 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워 임신 결과를 좋게 하는 것은 물론 배우자와 자신의 건강을 증진하고 부성으로서의 자질향상에 목적이 있기 때문에 결과 보다는 건강한 임신을 위한 과정에 중점을 두고 접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임신 전 남성관리’라는 제목으로 한국모자보건학회지 제20권 1호(2016년)에 게재됐다.
'비뇨기계·남성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장질환자 투석 안해도 되게 입고 다니는 인공신장 나온다 (0) | 2016.06.08 |
---|---|
허리 둘레가 굵은 남성 '전립선암' 위험 높아 (0) | 2016.06.03 |
만성 신부전 환자 위한 식단 관리법은? (0) | 2016.05.20 |
한국인, 만성콩팥병 환자 증가율 ‘세계 3위’ (0) | 2016.04.29 |
[건강칼럼] 만성콩팥병에 대해서 알려 주세요! (0) | 2016.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