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 취약지역 해소 대책 마련 필요
[메디컬투데이 박종헌 기자]
농·어촌 지역에서의 자살률이 도시에 비해 높은 반면 정신보건 관련 서비스의 접근성은 떨어져 정신건강서비스 제공 인프라에 대한 보완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동진 부연구위원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농·어촌 정신건강증진 정책현황과 과제’ 보고서를 보건복지포럼에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도시는 자살시도자 중 6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14.1%이었으나, 농촌은 45.3%로 나타나 농촌에서의 고령 자살시도자의 비율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
또한, 농촌의 노인자살률 평균은 인구 10만 명당 78.8명으로 도시지역의 노인 자살률 평균 70.4명에 비해 인구 10만 명당 8.4명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농촌의 우울증 고위험군 비율은 지난 2008~2011년까지 낮아지다가 이후 다시 증가하고 있었으며, 각 연도별로 도시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특히 2011년부터는 도시의 우울증 고위험군과 농촌의 비율간의 격차가 점점 커지고 있었다.
2000~2011년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전국에서 자살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원도(남자 52.8명, 여자 41.5명)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지역은 서울이었다.
이처럼 농·어촌 지역의 자살률과 우울증 고위험군 비율이 높은 상황은 열악한 정신보건 인프라와도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정신의료기관의 52.5%, 정신요양시설의 26.9%, 사회복귀시설의 57.2%, 정신건강증진센터의 37.8%가 대도시에 분포하고 있었던 반면, 군 지역에는 정신의료기관의 5.8%, 정신요양시설의 30.8%, 사회복귀시설의 10.5%, 정신건강증진센터의 17.2%가 분포해 있었다.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의 경우에도 관련 법상 인구 20만 명당 1개소를 설치할 수 있게 함에 따라 주로 대도시 위주로 설치가 돼 있으며, 상대적으로 인구수가 적은 군지역에는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적 인프라는 물론, 서비스 제공의 질적 수준 또한 도시 지역에 비해 높지 않은 수준이었다.
2013년도 지역별 정신건강증진센터 평가결과에 따르면, 군 지역 센터의 지표 충족률은 대도시나 중소도시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응급대응체계의 적절성, 생애주기별 정신건강증진 사업체계의 적절성 등이 크게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김동진 부연구위원은 “농·어촌의 정신건강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주민들의 정신건강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정신건강과 관련해 도시와는 다른 농·어촌의 특성을 파악하고, 정신건강 취약지역 해소를 위해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해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농·어촌 지역에서의 자살률이 도시에 비해 높은 반면 정신보건 관련 서비스의 접근성은 떨어져 정신건강서비스 제공 인프라에 대한 보완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동진 부연구위원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농·어촌 정신건강증진 정책현황과 과제’ 보고서를 보건복지포럼에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도시는 자살시도자 중 6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14.1%이었으나, 농촌은 45.3%로 나타나 농촌에서의 고령 자살시도자의 비율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
또한, 농촌의 노인자살률 평균은 인구 10만 명당 78.8명으로 도시지역의 노인 자살률 평균 70.4명에 비해 인구 10만 명당 8.4명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농촌의 우울증 고위험군 비율은 지난 2008~2011년까지 낮아지다가 이후 다시 증가하고 있었으며, 각 연도별로 도시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특히 2011년부터는 도시의 우울증 고위험군과 농촌의 비율간의 격차가 점점 커지고 있었다.
2000~2011년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전국에서 자살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원도(남자 52.8명, 여자 41.5명)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지역은 서울이었다.
이처럼 농·어촌 지역의 자살률과 우울증 고위험군 비율이 높은 상황은 열악한 정신보건 인프라와도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정신의료기관의 52.5%, 정신요양시설의 26.9%, 사회복귀시설의 57.2%, 정신건강증진센터의 37.8%가 대도시에 분포하고 있었던 반면, 군 지역에는 정신의료기관의 5.8%, 정신요양시설의 30.8%, 사회복귀시설의 10.5%, 정신건강증진센터의 17.2%가 분포해 있었다.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의 경우에도 관련 법상 인구 20만 명당 1개소를 설치할 수 있게 함에 따라 주로 대도시 위주로 설치가 돼 있으며, 상대적으로 인구수가 적은 군지역에는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적 인프라는 물론, 서비스 제공의 질적 수준 또한 도시 지역에 비해 높지 않은 수준이었다.
2013년도 지역별 정신건강증진센터 평가결과에 따르면, 군 지역 센터의 지표 충족률은 대도시나 중소도시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응급대응체계의 적절성, 생애주기별 정신건강증진 사업체계의 적절성 등이 크게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김동진 부연구위원은 “농·어촌의 정신건강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주민들의 정신건강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정신건강과 관련해 도시와는 다른 농·어촌의 특성을 파악하고, 정신건강 취약지역 해소를 위해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해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메디컬투데이 박종헌 기자(pyngmin@mdtoday.co.kr)
'아동·청소년·청년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이 ‘주걱턱’ 교정치료 “만 6~8세에 시작해야” (0) | 2016.05.11 |
---|---|
우리나라 어린이 야외 활동 하루에 고작 34분…미국의 29% 수준 (0) | 2016.05.10 |
소아청소년과 없는 의료취약지에 6억3600만원 지원 (0) | 2016.05.09 |
국내 최초 ‘통합형 어린이 재활병원’ 진료 시작 (0) | 2016.04.28 |
“위산 역류증, 편도비대 유발”…성인보다 소아 두드러져 (0) | 2016.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