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저학력, 배우자와 사별한 사람 치료 비율 낮아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우리나라 성인 7명 중 1명은 일 년에 1회 이상 자살충동을 느낌에도 불구하고, 8.2%만 전문가의 도움이 가능한 정신보건 서비스를 이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노인, 저학력, 배우자와 사별한 사람일수록 정신보건 서비스 이용률이 낮아, 자살을 비롯한 정신질환에 더욱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고려대 의대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함병주 교수팀(국군양주병원 한규만, 서울의료원 이해우, 경희대병원 백종우 교수)은 최근 2010년에서 2012년까지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데이터를 분석한 논문 ‘한국 인구의 대표 표본 내에서 자살 생각을 갖는 성인의 정신보건서비스 이용’에서 이 같이 밝혔다.
논문에 따르면, 19세 이상 성인 1만7869명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심각하게 자살시도를 고려한 적이 있냐?’는 질문에 2616명(14.1%)이 ‘그렇다’고 대답하며, 대한민국 성인 7명 중 1명은 일 년에 한차례 이상 자살충동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중 1271명(48.7%)은 일상생활에 방해가 될 정도로 2주 이상 우울감이 지속됐으며 134명(5.4%)은 실제로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다고 대답했다.
하지만,‘지난해 정신질환을 이유로 의료기관을 방문하거나, 인터넷‧전화 등을 이용한 상담을 받아본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193명(8.2%)만 그렇다고 대답해 의료기관, 정신보건기관, 상담센터 등 정신보건서비스를 이용한 사례는 매우 적었다.
무엇보다 정신보건서비스 이용률이 연령, 학력수준, 결혼상태, 경제활동여부 같은 사회경제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65세 이상 노인층은 자살충동을 느꼈음에도 19세~34세의 연령대에 비해 정신보건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비율이 4.9배이며, 50세~64세 역시 2.11배로 이용률이 낮았다.
대학 재학 이상의 학력을 가진 성인에 비해 중학교 졸업 이상~고교 졸업 이하의 학력을 가진 성인이 정신보건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비율은 1.87배였다.
결혼 상태 역시 자살 생각을 가진 성인의 정신보건서비스 비이용률에 영향을 미쳐, 기혼 성인과 비교하여 사별한 성인이 정신보건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을 비율은 2.75배였다.
경제 활동 인구군은 비경제활동 인구군에 비해 1.6배, 임금근로자는 실업 상태의 성인에 비해 1.97배의 정신보건서비스 비이용률을 보였다.
고려대 의대 함병주 교수는 “노인, 저학력층, 사별한 성인과 같은 정신질환의 취약 계층에서 오히려 정신보건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비율이 높다는 점은 이들이 자살 위험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것을 말한다”고 전했다.
이어“자살 생각은 실제 자살 시도로 이어질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위험 요인으로, 자살 관련 생각이나 충동이 생기는 경우 정신보건서비스 이용을 통해, 조기에 정신과적 어려움에 대한 도움을 받는 것이 자살예방에 도움이 된다”라고 강조했다.
또 “앞으로 자살 예방을 위한 정책 입안 과정에서 취약계층의 정신보건서비스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맞춤형 정신보건복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3월 15일 ‘국제기분장애학회(ISAD) 공식 학술지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최신호에 게재됐다.
우리나라 성인 7명 중 1명은 일 년에 1회 이상 자살충동을 느낌에도 불구하고, 8.2%만 전문가의 도움이 가능한 정신보건 서비스를 이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노인, 저학력, 배우자와 사별한 사람일수록 정신보건 서비스 이용률이 낮아, 자살을 비롯한 정신질환에 더욱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고려대 의대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함병주 교수팀(국군양주병원 한규만, 서울의료원 이해우, 경희대병원 백종우 교수)은 최근 2010년에서 2012년까지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데이터를 분석한 논문 ‘한국 인구의 대표 표본 내에서 자살 생각을 갖는 성인의 정신보건서비스 이용’에서 이 같이 밝혔다.
논문에 따르면, 19세 이상 성인 1만7869명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심각하게 자살시도를 고려한 적이 있냐?’는 질문에 2616명(14.1%)이 ‘그렇다’고 대답하며, 대한민국 성인 7명 중 1명은 일 년에 한차례 이상 자살충동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함병주 교수 (사진=고대의료원 제공) |
특히, 이들 중 1271명(48.7%)은 일상생활에 방해가 될 정도로 2주 이상 우울감이 지속됐으며 134명(5.4%)은 실제로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다고 대답했다.
하지만,‘지난해 정신질환을 이유로 의료기관을 방문하거나, 인터넷‧전화 등을 이용한 상담을 받아본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193명(8.2%)만 그렇다고 대답해 의료기관, 정신보건기관, 상담센터 등 정신보건서비스를 이용한 사례는 매우 적었다.
무엇보다 정신보건서비스 이용률이 연령, 학력수준, 결혼상태, 경제활동여부 같은 사회경제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65세 이상 노인층은 자살충동을 느꼈음에도 19세~34세의 연령대에 비해 정신보건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비율이 4.9배이며, 50세~64세 역시 2.11배로 이용률이 낮았다.
대학 재학 이상의 학력을 가진 성인에 비해 중학교 졸업 이상~고교 졸업 이하의 학력을 가진 성인이 정신보건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비율은 1.87배였다.
결혼 상태 역시 자살 생각을 가진 성인의 정신보건서비스 비이용률에 영향을 미쳐, 기혼 성인과 비교하여 사별한 성인이 정신보건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을 비율은 2.75배였다.
경제 활동 인구군은 비경제활동 인구군에 비해 1.6배, 임금근로자는 실업 상태의 성인에 비해 1.97배의 정신보건서비스 비이용률을 보였다.
고려대 의대 함병주 교수는 “노인, 저학력층, 사별한 성인과 같은 정신질환의 취약 계층에서 오히려 정신보건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비율이 높다는 점은 이들이 자살 위험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것을 말한다”고 전했다.
이어“자살 생각은 실제 자살 시도로 이어질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위험 요인으로, 자살 관련 생각이나 충동이 생기는 경우 정신보건서비스 이용을 통해, 조기에 정신과적 어려움에 대한 도움을 받는 것이 자살예방에 도움이 된다”라고 강조했다.
또 “앞으로 자살 예방을 위한 정책 입안 과정에서 취약계층의 정신보건서비스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맞춤형 정신보건복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3월 15일 ‘국제기분장애학회(ISAD) 공식 학술지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최신호에 게재됐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
'정신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로움' 심장질환·뇌졸중 위험 높여 (0) | 2016.04.21 |
---|---|
[건강서적] 10년 젊어지는 수면법 (0) | 2016.04.18 |
불면증 심하다면 주 3~5일 하루 30분 조깅이나 수영해라 (0) | 2016.04.08 |
툭 하면 '카카오톡' 쳐다보다 우울증 걸릴라 (0) | 2016.03.28 |
SSRI 우울증 약물 심혈관 위험 높이지 않아 (0) | 2016.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