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주건·김만호 교수팀 연구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국내 연구진이 코 상피조직검사를 활용한 치매 조기 진단법을 개발했다.
서울대병원 신경과 주건·김만호 교수팀은 코 상피세포 내 마이크로 RNA-206 (mir-206)의 발현량으로 치매를 확인하는 연구에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2006~2014년 우리나라에서 치매 치료를 받은 환자는 67만6000명에 달한다. 인구 고령화에 따라 매년 급증하고 있는 알츠하이머 병은 현재까지 치료약이 없고 증상을 일부 완화시키는 약물치료가 전부다.
치매의 진단은 의사의 병력청취, 검진, 뇌영상검사 등을 통해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지만, 기억력이 떨어져가는 치매 전단계를 확실히 감별하는 것은 현재까지 거의 불가능했다.
더욱이 치매 전단계 환자들은 최초 증상 후 약 10년이 지나야 비로소 치매로 진행하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를 받거나, 미래에 대비할 계획이 부족하게 된다.
알츠하이머 병 초기에 제일 먼저 나타나는 증상은 냄새를 구별 못하는 것으로 이는 냄새를 뇌로 전달하는 후각신경계에 병리변화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이 사실에 착안해 연구팀은 건강자원자, 우울증환자, 치매 전단계, 치매환자 등 4개 그룹을 대상으로 후각신경말단이 있는 상피조직을 떼어내 정량 PCR(중합효소연쇄반응)을 통해 마이크로RNA-206의 발현량을 검사했다.
그 결과, 치매 전단계는 정상인에 비해 7.8배, 치매 환자들은 41.5배의 mir-206 발현량을 보인 반면, 우울증 환자들은 기억력이 저하돼 있음에도 mir-206 발현량은 정상인과 같게 나와 치매와는 뚜렷하게 구별됐다.
주건 교수는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치매검진에 드는 엄청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며 “기억력이 떨어지는 환자들도 본인이 치매로 진행될 것인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도와준다”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발명한 치매약물인 ‘mir-206 억제제’를 치매환자에게 투여하는 임상시험을 계획 중이다.
한편, 이번 연구는 서울대 의대 벤처기업 어드밴스드엔티와 공동으로 진행했으며, 최근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리포트(Scientific report)’에 발표됐다.
국내 연구진이 코 상피조직검사를 활용한 치매 조기 진단법을 개발했다.
서울대병원 신경과 주건·김만호 교수팀은 코 상피세포 내 마이크로 RNA-206 (mir-206)의 발현량으로 치매를 확인하는 연구에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2006~2014년 우리나라에서 치매 치료를 받은 환자는 67만6000명에 달한다. 인구 고령화에 따라 매년 급증하고 있는 알츠하이머 병은 현재까지 치료약이 없고 증상을 일부 완화시키는 약물치료가 전부다.
치매의 진단은 의사의 병력청취, 검진, 뇌영상검사 등을 통해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지만, 기억력이 떨어져가는 치매 전단계를 확실히 감별하는 것은 현재까지 거의 불가능했다.
더욱이 치매 전단계 환자들은 최초 증상 후 약 10년이 지나야 비로소 치매로 진행하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를 받거나, 미래에 대비할 계획이 부족하게 된다.
알츠하이머 병 초기에 제일 먼저 나타나는 증상은 냄새를 구별 못하는 것으로 이는 냄새를 뇌로 전달하는 후각신경계에 병리변화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이 사실에 착안해 연구팀은 건강자원자, 우울증환자, 치매 전단계, 치매환자 등 4개 그룹을 대상으로 후각신경말단이 있는 상피조직을 떼어내 정량 PCR(중합효소연쇄반응)을 통해 마이크로RNA-206의 발현량을 검사했다.
그 결과, 치매 전단계는 정상인에 비해 7.8배, 치매 환자들은 41.5배의 mir-206 발현량을 보인 반면, 우울증 환자들은 기억력이 저하돼 있음에도 mir-206 발현량은 정상인과 같게 나와 치매와는 뚜렷하게 구별됐다.
주건 교수는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치매검진에 드는 엄청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며 “기억력이 떨어지는 환자들도 본인이 치매로 진행될 것인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도와준다”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발명한 치매약물인 ‘mir-206 억제제’를 치매환자에게 투여하는 임상시험을 계획 중이다.
한편, 이번 연구는 서울대 의대 벤처기업 어드밴스드엔티와 공동으로 진행했으며, 최근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리포트(Scientific report)’에 발표됐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
'뇌·심혈관계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성심근경색, ‘당뇨 유발’ 위험인자로 규명 (0) | 2016.03.24 |
---|---|
'심장' 건강하게 하는 습관 '뇌'도 건강하게 만든다 (0) | 2016.03.17 |
심부전 위중성 간과하는 우리국민…10명 중 9명은 ‘과소평가’ (0) | 2016.03.07 |
나이 많을수록 '뇌출혈' 발생 빈도 ↑ (0) | 2016.02.15 |
피부암 치료제 '벡사로텐' 알즈하이머질환 예방한다 (0) | 2016.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