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희진 교수팀, 치매환자 대상 NPI설문·약물처방 분석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요양원에 입소 중인 치매노인 가운데 절반 이상이 치매노인을 돌보는 사람에게 가장 큰 어려움이 되는 ‘행동심리증상’(BPSD)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4명 중 1명이 항정신성 의약품을 복용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황희진 교수 연구팀(노인기능연구소 김상환 박사, 이강수 차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교수)은 장기요양시설 20곳에 입소 중인 835명의 65세 이상 치매 환자 529명에서 행동심리증상의 대표적인 평가도구인 Neurospsychiatric Inventory (NPI) 설문과 약물 처방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NPI는 망상, 환각, 초조·공격성, 우울·낙담, 불안, 다행감·기분의 들뜸, 무감동·무관심, 탈억제, 과민·불안정, 비정상적인 반복행동, 야간의 행동, 식욕·식습관의 변화의 12가지 영역에 대해 평가하도록 구성돼 있다.
이번 연구 결과, 불안 증상이 가장 많았으며,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항정신성 약물 사용은 탈억제·불안정과 연관이 있었다. 가장 많이 사용 중인 항정신성 약물은 비전형약물인 Quetiapine이었으며, Risperidone과 Olanzapine이 그 뒤를 이었다.
치매 환자의 행동심리증상은 이상 행동과 심리 증상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상행동으로는 공격성·폭력, 고함·비명, 소음 발생, 의심, 화냄·욕설, 배회, 반복적 행동·질문, 물건 모으기·숨기기, 투약·의복·목욕 거부, 식탐, 부적절한 성(性)적 행동, 보호자 쫓아다니기 등이 있고, 심리 증상으로는 우울, 불안, 초조, 무관심, 낯설어 함, 환각, 망상 등이 있다.
황희진 교수는 “행동심리증상은 특히 증상조절을 통해 환자와 돌보미의 안전 확보·삶의 질 향상을 추구해야하기 때문에, 문제를 명확히 하고, 원인을 파악한 후 적절한 약물치료 및 비-약물치료를 시행하면서 효과를 판정하는 접근법이 필요하고, 여기에는 신체적 상태나 심리적 요인에 대한 파악도 반드시 동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증상에 적절한 약물치료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장 낮은 효과적 용량으로 시작해 천천히 증량함과 동시에 주기적 관찰을 통해 적절한 시기에 중단해야 한다”면서 이에 대한 모니터링과 조기개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해외 저널인 ‘Drugs - Real World Outcomes’ 최신판에 게재됐다.
요양원에 입소 중인 치매노인 가운데 절반 이상이 치매노인을 돌보는 사람에게 가장 큰 어려움이 되는 ‘행동심리증상’(BPSD)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4명 중 1명이 항정신성 의약품을 복용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황희진 교수 연구팀(노인기능연구소 김상환 박사, 이강수 차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교수)은 장기요양시설 20곳에 입소 중인 835명의 65세 이상 치매 환자 529명에서 행동심리증상의 대표적인 평가도구인 Neurospsychiatric Inventory (NPI) 설문과 약물 처방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NPI는 망상, 환각, 초조·공격성, 우울·낙담, 불안, 다행감·기분의 들뜸, 무감동·무관심, 탈억제, 과민·불안정, 비정상적인 반복행동, 야간의 행동, 식욕·식습관의 변화의 12가지 영역에 대해 평가하도록 구성돼 있다.
이번 연구 결과, 불안 증상이 가장 많았으며,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항정신성 약물 사용은 탈억제·불안정과 연관이 있었다. 가장 많이 사용 중인 항정신성 약물은 비전형약물인 Quetiapine이었으며, Risperidone과 Olanzapine이 그 뒤를 이었다.
치매 환자의 행동심리증상은 이상 행동과 심리 증상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상행동으로는 공격성·폭력, 고함·비명, 소음 발생, 의심, 화냄·욕설, 배회, 반복적 행동·질문, 물건 모으기·숨기기, 투약·의복·목욕 거부, 식탐, 부적절한 성(性)적 행동, 보호자 쫓아다니기 등이 있고, 심리 증상으로는 우울, 불안, 초조, 무관심, 낯설어 함, 환각, 망상 등이 있다.
▲황희진 교수 (사진=국제성모병원 제공) |
황희진 교수는 “행동심리증상은 특히 증상조절을 통해 환자와 돌보미의 안전 확보·삶의 질 향상을 추구해야하기 때문에, 문제를 명확히 하고, 원인을 파악한 후 적절한 약물치료 및 비-약물치료를 시행하면서 효과를 판정하는 접근법이 필요하고, 여기에는 신체적 상태나 심리적 요인에 대한 파악도 반드시 동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증상에 적절한 약물치료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장 낮은 효과적 용량으로 시작해 천천히 증량함과 동시에 주기적 관찰을 통해 적절한 시기에 중단해야 한다”면서 이에 대한 모니터링과 조기개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해외 저널인 ‘Drugs - Real World Outcomes’ 최신판에 게재됐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
'뇌·심혈관계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방세동' 여성들 남성들 보다 더 위험 (0) | 2016.01.21 |
---|---|
“파킨슨병 환자, 합병증·수술비용 부담스러워” (0) | 2016.01.21 |
막힌 경동맥 뚫기 위한 가이드라인 나왔다 (0) | 2016.01.15 |
“노인 우울증, 심리적 요인보다 뇌혈류 장애 문제” (0) | 2016.01.12 |
사람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질환 중 하나인 ‘이것’ (0) | 2016.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