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코올성 간질환, 알코올 총 섭취량 및 기간 영향 받아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한두 잔으로 시작한 술이 한두 병이 되는 건 시간문제다. 많은 사람들이 간 건강은 안중에도 없이 술자리의 즐거움 등 당시의 쾌락을 위해 입 안으로 술을 마구 부어대곤 한다.
처음에는 괜찮지만 계속 술을 마실 경우 간이 더 이상 알코올을 해독하지 못할 정도로 기능을 상실한다면 생각보다 심각한 상황이 발생할지도 모른다. 따라서 평소 술을 좋아하고 자주 마신다면 지금부터라도 자제할 필요가 있다.
정상 간의 경우 지방의 비율이 5% 정도인데 지방간이란 간에 지방이 증가하는 질환으로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간세포 안에 지방 즉 기름이 5% 보다 많이 끼어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 질환의 주된 원인은 음주와 비만이며 혈중 지방 농도가 높은 고지혈증이나 당뇨병 등의 질병에 동반돼 나타나기도 하고 여성 호르몬제 등의 약제도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심한 영양 부족에 의해서도 지방간이 생길 수 있다.
이는 무증상인 경우부터 피로감과 전신 권태감 또는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까지 증상의 종류 및 정도가 다양하다. 아울러 지방의 축적 정도와 축적 기간, 다른 질환의 동반 유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알코올성 지방간의 경우 특별한 증상이 없기에 더욱 무섭지만 다행히 대부분 금주만으로 쉽게 좋아질 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음주를 지속할 시 알코올성 간염 및 간경변증으로 진행할 수 있다.
특히 여성은 남성보다 알코올 분해 효소의 활성도가 떨어져 있어 적은 양을 마시더라도 간 손상 위험이 크므로 주의해야 한다. 아울러 B형 간염 등과 같은 바이러스간염 환자나 영양상태가 나쁜 사람의 경우도 소량의 알코올 섭취로도 심각한 간 손상이 올 수 있다.
중앙대병원 소화기내과 김형준 교수는 “술을 많이 마신다고 모든 사람이 간 손상을 입는 것은 아니며 술을 오랫동안 많이 마시는 사람에게 간질환이 발생하는 빈도가 높다. 또 알코올성 간질환은 술을 마시는 방법이나 술의 종류보다는 알코올의 총 섭취량과 얼마나 오랜 기간 자주 마셨는지의 영향을 받는다”고 말했다.
이어 “간을 지키기 위해 시중의 간 보호제나 숙취에 좋다고 알려진 식품들은 보조제일 뿐 간의 손상을 근본적으로 예방하지는 못하므로 보조제품을 믿고 과음을 한다면 심각한 간 질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
처음에는 괜찮지만 계속 술을 마실 경우 간이 더 이상 알코올을 해독하지 못할 정도로 기능을 상실한다면 생각보다 심각한 상황이 발생할지도 모른다. 따라서 평소 술을 좋아하고 자주 마신다면 지금부터라도 자제할 필요가 있다.
정상 간의 경우 지방의 비율이 5% 정도인데 지방간이란 간에 지방이 증가하는 질환으로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간세포 안에 지방 즉 기름이 5% 보다 많이 끼어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 질환의 주된 원인은 음주와 비만이며 혈중 지방 농도가 높은 고지혈증이나 당뇨병 등의 질병에 동반돼 나타나기도 하고 여성 호르몬제 등의 약제도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심한 영양 부족에 의해서도 지방간이 생길 수 있다.
이는 무증상인 경우부터 피로감과 전신 권태감 또는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까지 증상의 종류 및 정도가 다양하다. 아울러 지방의 축적 정도와 축적 기간, 다른 질환의 동반 유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알코올성 지방간의 경우 특별한 증상이 없기에 더욱 무섭지만 다행히 대부분 금주만으로 쉽게 좋아질 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음주를 지속할 시 알코올성 간염 및 간경변증으로 진행할 수 있다.
특히 여성은 남성보다 알코올 분해 효소의 활성도가 떨어져 있어 적은 양을 마시더라도 간 손상 위험이 크므로 주의해야 한다. 아울러 B형 간염 등과 같은 바이러스간염 환자나 영양상태가 나쁜 사람의 경우도 소량의 알코올 섭취로도 심각한 간 손상이 올 수 있다.
중앙대병원 소화기내과 김형준 교수는 “술을 많이 마신다고 모든 사람이 간 손상을 입는 것은 아니며 술을 오랫동안 많이 마시는 사람에게 간질환이 발생하는 빈도가 높다. 또 알코올성 간질환은 술을 마시는 방법이나 술의 종류보다는 알코올의 총 섭취량과 얼마나 오랜 기간 자주 마셨는지의 영향을 받는다”고 말했다.
이어 “간을 지키기 위해 시중의 간 보호제나 숙취에 좋다고 알려진 식품들은 보조제일 뿐 간의 손상을 근본적으로 예방하지는 못하므로 보조제품을 믿고 과음을 한다면 심각한 간 질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
'음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인 40%는 소량 음주도 위험하다' 국내 연구진 뇌졸중 연구에 반박 기고 (0) | 2015.12.15 |
---|---|
우리나라 남성 음주자 4명중 1명 ‘고위험 음주’ (0) | 2015.08.18 |
술 하루 두 잔 이상 마시면 심장 건강 해쳐 (0) | 2015.05.28 |
중년 이후 술 자주 마시고 젊었을 때는 폭음 흔해 (0) | 2015.03.09 |
뇌세포를 병들게 하는 잦은 알코올 섭취 (0) | 201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