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이 남성보다 7:3 비율로 높아”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최근 5년 사이 한국인의 무릎 절골술은 3배, 무릎 인공관절 부분치환술은 2배 증가했으나, 무릎 인공관절 전치환술은 18%만 증가하였고 연간 성장률은 감소추세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정형외과 인용·고인준 교수팀은 지난 2009년부터 2013년 한국에서 시행된 무릎 절골술, 무릎 인공관절 부분치환술 및 무릎 인공관절 전치환술 빈도와 환자의 연령 및 성별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서구 선진국과 비교한 연구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연구 결과, 최근 5년 사이 한국에서 무릎 절골술은 2009년 2649건에서 2013년 8207건으로 약 3배, 무릎 인공관절 부분치환술은 1516건에서 3610건으로 약 2배 증가했다.
하지만 무릎 인공관절 전치환술은 6만5142건에서 7만6692건으로 18%만이 증가했으며, 2012년부터 연간 성장률은 오히려 감소를 보였다.
호주, 캐나다, 영국 및 핀란드, 스웨덴, 노르웨이 등의 북유럽 국가의 국가 통계 자료에 의하면 무릎 절골술은 감소하고 있다. 무릎 인공관절 반치환술은 감소 또는 유지되고 있고 무릎 인공관절 전치환술은 대체적으로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어 연구진이 보고한 한국의 결과와 상반된다.
한국의 인구학적인 동향으로 무릎 절골술은 45세 이상부터 64세 미만의 젊은 연령층에서 급증한 반면 무릎 인공관절 부분치환술은 55세 이상부터 74세의 연령층에서 증가했다,
무릎 인공관절 전치환술은 65세부터 74세까지의 연령에서 그 사용량이 가장 많았고 75세 이상의 연령에서 그 사용이 급증했다. 한편, 세계적으로는 여성과 남성의 비율이 6:4 정도로 조사된 반면 한국에서는 여성과 남성의 비율이 7:3 또는 8:2로 여성 환자가 많았다.
연구팀은 무릎 절골술이 급증하고 무릎 인공관절 전치환술이 감소하는 한국의 경향은 다른 서구 선진국들의 것과 비교할 때 매우 독특한 현상이며 이러한 경향이 계속 유지될지 여부 및 무릎 절골술 및 무릎 인공관절 부분치환술의 장기 결과에 대하여 추시가 필요하다고 보고했다.
또한 한국의 이러한 독특한 경향은 수술관련 의공학 기술의 발달, 인구학적 변화 및 보건 정책 등의 복합적인 원인에 의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인용 교수는 “최근 무릎 절골술 및 인공관절 부분 치환술에 사용하는 장비 및 수술적 술기가 많이 향상되었고, 한국인은 서양인보다 내반 변형(오다리)이 많으며 한국전쟁 이후 베이비붐세대들이 점차 고령화되고 있는 점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무릎 인공관절 전치환술의 급여인정기준 등이 모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고인준 교수는 “무릎 절골술, 무릎 인공관절 부분 치환술 및 전치환술 모두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많고 40대 이후 수술적 치료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며 특히 “국내에서 40대 미만의 젊은 여성에서 무릎 퇴행성 관절염 예방을 위한 사회적 관심과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현재 급증하고 있는 무릎 절골술의 빈도추이를 지속적으로 조사하여야 하며 이들 술식의 장기 추시 결과를 분석하여 이러한 수술 빈도의 변화가 한국의 보건의료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정형외과 영역의 세계적 학술지인 '미국 인공관절 학회지'지 인터넷판 2015년 1월호 에 게재됐고, 올해 6월 프랑스에서 개최되는 ‘국제 관절경, 무릎 수술 및 정형외과 스포츠 학회에 발표 연구로 선정됐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정형외과 인용·고인준 교수팀은 지난 2009년부터 2013년 한국에서 시행된 무릎 절골술, 무릎 인공관절 부분치환술 및 무릎 인공관절 전치환술 빈도와 환자의 연령 및 성별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서구 선진국과 비교한 연구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연구 결과, 최근 5년 사이 한국에서 무릎 절골술은 2009년 2649건에서 2013년 8207건으로 약 3배, 무릎 인공관절 부분치환술은 1516건에서 3610건으로 약 2배 증가했다.
하지만 무릎 인공관절 전치환술은 6만5142건에서 7만6692건으로 18%만이 증가했으며, 2012년부터 연간 성장률은 오히려 감소를 보였다.
▲인용-고인준 교수 (사진=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제공) |
호주, 캐나다, 영국 및 핀란드, 스웨덴, 노르웨이 등의 북유럽 국가의 국가 통계 자료에 의하면 무릎 절골술은 감소하고 있다. 무릎 인공관절 반치환술은 감소 또는 유지되고 있고 무릎 인공관절 전치환술은 대체적으로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어 연구진이 보고한 한국의 결과와 상반된다.
한국의 인구학적인 동향으로 무릎 절골술은 45세 이상부터 64세 미만의 젊은 연령층에서 급증한 반면 무릎 인공관절 부분치환술은 55세 이상부터 74세의 연령층에서 증가했다,
무릎 인공관절 전치환술은 65세부터 74세까지의 연령에서 그 사용량이 가장 많았고 75세 이상의 연령에서 그 사용이 급증했다. 한편, 세계적으로는 여성과 남성의 비율이 6:4 정도로 조사된 반면 한국에서는 여성과 남성의 비율이 7:3 또는 8:2로 여성 환자가 많았다.
연구팀은 무릎 절골술이 급증하고 무릎 인공관절 전치환술이 감소하는 한국의 경향은 다른 서구 선진국들의 것과 비교할 때 매우 독특한 현상이며 이러한 경향이 계속 유지될지 여부 및 무릎 절골술 및 무릎 인공관절 부분치환술의 장기 결과에 대하여 추시가 필요하다고 보고했다.
또한 한국의 이러한 독특한 경향은 수술관련 의공학 기술의 발달, 인구학적 변화 및 보건 정책 등의 복합적인 원인에 의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인용 교수는 “최근 무릎 절골술 및 인공관절 부분 치환술에 사용하는 장비 및 수술적 술기가 많이 향상되었고, 한국인은 서양인보다 내반 변형(오다리)이 많으며 한국전쟁 이후 베이비붐세대들이 점차 고령화되고 있는 점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무릎 인공관절 전치환술의 급여인정기준 등이 모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고인준 교수는 “무릎 절골술, 무릎 인공관절 부분 치환술 및 전치환술 모두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많고 40대 이후 수술적 치료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며 특히 “국내에서 40대 미만의 젊은 여성에서 무릎 퇴행성 관절염 예방을 위한 사회적 관심과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현재 급증하고 있는 무릎 절골술의 빈도추이를 지속적으로 조사하여야 하며 이들 술식의 장기 추시 결과를 분석하여 이러한 수술 빈도의 변화가 한국의 보건의료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정형외과 영역의 세계적 학술지인 '미국 인공관절 학회지'지 인터넷판 2015년 1월호 에 게재됐고, 올해 6월 프랑스에서 개최되는 ‘국제 관절경, 무릎 수술 및 정형외과 스포츠 학회에 발표 연구로 선정됐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
'여성·유아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혼모' 향후 건강 좋지 않을 위험 높아 (0) | 2015.05.18 |
---|---|
임신한지도 모르는 임신 초기 음주, 자녀 뇌 영구적 변화 유발 (0) | 2015.05.18 |
여자의 그날, 날짜가 아닌 몸으로 먼저 안다 (0) | 2015.05.15 |
'골다공증' 급작스런 청력 소실 위험 2배 (0) | 2015.05.11 |
산후조리원서 사망 시 최대 1억원 보상 받는다 (0) | 201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