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TㆍPCB 등 오염물질, 미량으로도 태아 성장지연 유발 [메디컬투데이 박세용 기자] 수십 년 동안 환경에서 사라지지 않는 DDT, PCB등의 오염물질들이 아주 적은 농도로도 태아의 성장이 늦출 수 있다고 지적하는 연구결과가 나왔다.31일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아동보건-인간발달연구소(NICHHD) 연구팀이 ‘JAMA 소아과학(JAMA Pediatrics)’ .. 직업·환경성질환, 안전 2020.01.06
엄마가 살충제 노출 자녀 '자폐증' 발병 위험 높여 [메디컬투데이 신현정 기자] 엄마의 혈중 살충제 농도가 영아에서 자폐증 발병 위험과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19일 콜럼비아대학 연구팀등이 '미정신의학저널'에 밝힌 새로운 연구결과 살충제 특히 DDT(디클로로디페닐트리클로로에탄, 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에 많이 노출된 엄마의 .. 여성·유아 건강 2018.08.20
‘DDT 검출’ 경산ㆍ영천 계란 농장…농업용수ㆍ사료는 미검출 가금류 사육지 등 토양 중 DDT 관리기준 마련 계획 [메디컬투데이 최성수 기자] 디디티가 검출된 경산‧영천 계란 농장 토양 분석 결과 농업용수, 식물체 및 사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농촌진흥청은 계란에서 디디티(DDT) 성분이 검출된 경산시, 영천시 산란계 농장의 토양, 농업용.. 직업·환경성질환, 안전 2017.08.28
농약 DDT 알즈하이머치매 유발 [메디컬투데이 신현정 기자] DDT라는 전에 널리 사용됐던 농약에 노출되는 것이 알즈하이머질환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애모리대학 연구팀이 '신경과학지'에 밝힌 연구결과에 의하면 알즈하이머질환을 앓는 환자들이 건강한 사람에 비해 체내 잔료하는 DDT 농.. 직업·환경성질환, 안전 2014.02.04
체내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2형 당뇨병 위험 높여 [메디컬투데이 김소희 기자] 식품과 대기, 물 속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즉 POPs(Persistent Organic Pollutants)에 계속 노출될 경우 2형 당뇨병이 발병할 위험이 높아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그라나다대학 연구팀이 'Environmental Research'지에 밝힌 386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 직업·환경성질환, 안전 2013.02.13
국민 20%이상 몸속에 금지농약 농촌 초등학생 절반서 문제성분 검출 식약청, 용역연구 결과서 드러나 국내에서 사용이 금지 된지 무려 38년이라는 세월이 지난 농약 DDT와 톡사펜이 국민 20% 이상의 체내에 나온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유기염소계 농약이 완전히 퇴출된 이후 출생한 초등학생의 경우에도 30% 이상에서 디엘.. 직업·환경성질환, 안전 2009.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