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심혈관계 질환

조용한 암살자, 無증상 경동맥협착증

pulmaemi 2014. 11. 26. 15:31

뇌혈관질환 가능성 최대 10배 높아져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65세의 김모씨. 고혈압을 관리하고 있지만 건강 하나는 자신 있던 김씨는 아침 일찍 동네 뒷산을 올랐다가 쓰러진 채 이웃 주민에게 발견됐다. 급히 병원으로 옮겨진 김씨는 뇌졸중 진단을 받았고 의사는 ‘무증상의 경동맥협착증’을 원인으로 설명했다. 평소 지병이나 특별한 이상이 없었는데 웬 날벼락이냐며 가족들은 말을 잇지 못했다.” 

◇ 경동맥 좁아지면 뇌혈관질환 위험 증가 

기온이 낮아지는 가을·겨울에는 뇌졸중 환자가 급격히 증가한다.  

이런 뇌졸중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것이 바로 앞서 언급된 ‘무증상의 경동맥협착증’이다.  

경동맥협착증은 경동맥이 동맥경화증에 의해 혈전이 축적돼 좁아지는 것을 말하는데 이렇게 형성된 혈전이 떨어져 나가 뇌혈관을 막으면 뇌졸중을 일으키게 된다. 

미국이나 유럽은 심장혈관을 제외한 기타 혈관질환의 90%가 경동맥협착 질환일 정도로 흔하며 국내에서도 심장혈관 질환과 함께 경동맥질환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 몸의 혈관은 동맥과 정맥으로 구분된다. 동맥은 심장에서 온 몸으로 혈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정맥은 반대로 심장으로 혈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경동맥(목 부위 동맥)은 심장에서 뇌로 혈액을 전달하는 주요 혈관이다. 때문에 경동맥이 혈전으로 좁아지면 혈액공급량이 줄고 혈전으로 인한 뇌혈관질환 위험이 높아진다. 

실제 2011년 미국 의학전문지 '신경학(Neurology)'에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경동맥이 좁아지면 뇌졸중 위험이 6~10배나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연구에서는 증상이 있는 경동맥 협착증 환자는 뇌졸중 발생률이 매년 6~7% 정도 증가하며 증상이 없는 경동맥 협착증 환자도 경동맥이 75% 이상 막혀있으면 뇌졸중 발생 가능성이 매년 10% 정도 증가한다고 조사됐다.

경희대학교병원 흉부외과 윤효철 교수는 “많은 경우의 경동맥협착증이 증상이 없기 때문에 진단이 어렵고 또 발견이 됐다 하더라도 치료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며 “협착 부위의 동맥경화성 부스러기가 뇌혈관으로 들어가 혈관을 막으면 갑작스런 뇌경색을 초래할 수도 있어 위험하다”고 설명했다. 

실제 경희대병원 심장혈관센터 경동맥절제클리닉을 찾은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경동맥협착증의 사전 증상이 있었는지 조사한 결과 ▲증상이 없었다 36명(72%) ▲안면신경마비 증상 1건(2%) ▲어지럼증 5건(10%) ▲팔다리에 힘이 없는 증상 8건(16%)으로 나타났다. 10명 중 7명에 해당되는 환자가 병원을 찾기 전까지 아무런 증상을 느끼지 못한 것이다. 

◇ 경동맥내막절제술로 뇌혈관 질환 예방 가능

경동맥협착 정도에 따라 심하지 않으면 콜레스테롤 저하제, 혈압강하제, 아스피린 같은 항응고제 약물로 관리가 가능하지만 협착의 정도가 50% 이상이면서 안면부, 상·하지 마비와 같은 신경학적 증상을 동반하거나 증상이 없더라도 70% 이상의 협착이 있다면 예방적 차원에서 경동맥 내막절제술 또는 경동맥 스텐트 삽입 등의 적극적 치료가 필요하다. 

경동맥 내막절제술은 경동맥협착으로 발생 가능한 뇌혈관질환의 주된 요인을 제거하는 예방차원의 수술로 중풍 병력이 있는 환자는 다른 증상의 발현 예방하고 비만이나 고혈압 등 심혈관질환 위험 요인이 있는 중장년층은 뇌경색 위험요소를 제거를 기대할 수 있다.  

경희대병원 심장혈관센터 경동맥절제클리닉은 경동맥내막절제술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안정된 실력을 바탕으로 무증상의 경동맥 협착증 환자의 뇌졸중을 예방하고 이미 뇌졸중 증상이 발생한 환자들이 2차 뇌졸중을 예방할 수 있는 ‘내막절제술 및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하고 있다.  

윤효철 교수는 “고지혈증, 고혈압 등 동맥경화성 혈관질환의 위험 요인을 가지고 있는 고령의 경우 경동맥 초음파 검사와 예방적 차원의 수술 및 시술을 진행하면 무증상의 경동맥협착증 발견과 치료에 도움을 준다”며 “경동맥협착증에 의한 뇌졸중은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과 같은 성인병, 스트레스, 흡연 등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런 위험 요인을 예방하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말했다.  

또한 “어지럼증이나 마비와 같은 신경학적 이상 증상이 없는 경우라도 심근경색 등이 심장혈관 질환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군에서는 무증상의 경동맥 협착증이 있을 수 있으므로 경동맥 초음파 검사나 뇌혈관 MRI 등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