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개념 세포치료제 개발 가능성 열어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국내 연구진이 유전자 가위 기술을 이용해 인간 유래 역분화 줄기세포(iPS cell)에서 뒤집어진 혈우병 유전자를 다시 뒤집어 원상 복구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6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김동욱 교수팀과 IBS(기초과학연구원)의 유전체교정연구단으로 이뤄진 공동 연구팀이 유전자가위 기술을 이용해 인간 유래 역분화 줄기세포에서 염색체의 일부를 뒤집을 수도 있고 뒤집어진 부분을 원상 복구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이번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밝혀냈다고 전했다.
사람들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서로 비교해 보면 어떤 사람은 다른 사람에 비해 특정 유전자의 일부가 뒤집어져 있기도 하고 삭제 또는 중복돼 있기도 하다. 이런 변이를 ‘구조 변이’라고 하는데 이 구조 변이는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중증 혈우병 환자 대다수는 8번 혈액응고인자 유전자의 일부가 뒤집어져 단백질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아 발생한다.
연구팀은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할 수 있는 유전자가위 효소의 일종인 탈렌을 제작해 인간 유래 역분화 줄기 세포에 도입해서 혈우병 질환 모델 세포를 만들었다.
더 나아가 만들어진 질환 모델 세포에 동일 탈렌을 도입해 뒤집어진 염색체를 원상 복구해 8번 혈액응고인자의 발현을 정상상태로 복구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런 유전자가위 기술을 이용해 인간 유래 역분화 줄기세포에서 염색체의 일부를 뒤집을 수도 있고 뒤집어진 부분을 원상 복구할 수도 있다는 사실은 이번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밝혀졌다.
또한 공동연구팀은 원상복구한 역분화 줄기세포를 분화시켜 만든 세포에서 8번 혈액응고인자가 정상적으로 발현됨을 확인했다.
환자 맞춤형 역분화줄기세포는 면역거부 반응을 피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세포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나 유전병 환자의 경우 그 유전병의 원인이 되는 돌연변이를 그대로 가지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번 연구는 유전자의 일부가 뒤집어진 돌연변이를 유전자가위를 이용해 원천 복구하는 방법을 제시해 줄기세포를 이용한 유전질환 치료 및 세포치료제 개발에 한 걸음 더 나아간 획기적인 성과로 평가 받고 있다.
연세대 김동욱 교수와 IBS 김진수 단장은 “본 연구는 중장기적으로 혈우병 환자의 역분화 줄기세포에서 유전자 교정을 한 후 정상으로 된 세포치료제를 개발해 임상에 사용하려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 6월 10일자에 게재됐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
미래창조과학부는 16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김동욱 교수팀과 IBS(기초과학연구원)의 유전체교정연구단으로 이뤄진 공동 연구팀이 유전자가위 기술을 이용해 인간 유래 역분화 줄기세포에서 염색체의 일부를 뒤집을 수도 있고 뒤집어진 부분을 원상 복구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이번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밝혀냈다고 전했다.
사람들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서로 비교해 보면 어떤 사람은 다른 사람에 비해 특정 유전자의 일부가 뒤집어져 있기도 하고 삭제 또는 중복돼 있기도 하다. 이런 변이를 ‘구조 변이’라고 하는데 이 구조 변이는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중증 혈우병 환자 대다수는 8번 혈액응고인자 유전자의 일부가 뒤집어져 단백질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아 발생한다.
연구팀은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할 수 있는 유전자가위 효소의 일종인 탈렌을 제작해 인간 유래 역분화 줄기 세포에 도입해서 혈우병 질환 모델 세포를 만들었다.
더 나아가 만들어진 질환 모델 세포에 동일 탈렌을 도입해 뒤집어진 염색체를 원상 복구해 8번 혈액응고인자의 발현을 정상상태로 복구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런 유전자가위 기술을 이용해 인간 유래 역분화 줄기세포에서 염색체의 일부를 뒤집을 수도 있고 뒤집어진 부분을 원상 복구할 수도 있다는 사실은 이번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밝혀졌다.
또한 공동연구팀은 원상복구한 역분화 줄기세포를 분화시켜 만든 세포에서 8번 혈액응고인자가 정상적으로 발현됨을 확인했다.
환자 맞춤형 역분화줄기세포는 면역거부 반응을 피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세포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나 유전병 환자의 경우 그 유전병의 원인이 되는 돌연변이를 그대로 가지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번 연구는 유전자의 일부가 뒤집어진 돌연변이를 유전자가위를 이용해 원천 복구하는 방법을 제시해 줄기세포를 이용한 유전질환 치료 및 세포치료제 개발에 한 걸음 더 나아간 획기적인 성과로 평가 받고 있다.
연세대 김동욱 교수와 IBS 김진수 단장은 “본 연구는 중장기적으로 혈우병 환자의 역분화 줄기세포에서 유전자 교정을 한 후 정상으로 된 세포치료제를 개발해 임상에 사용하려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 6월 10일자에 게재됐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
'여성·유아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아 후두염 원인 바이러스 증가 '주의' (0) | 2014.06.23 |
---|---|
출산후 다음 임신까지 1년 안 되면 '미숙아' 출산 위험 높아 (0) | 2014.06.23 |
국내 최초 시토스테롤혈증 진단 (0) | 2014.06.17 |
아직도 많은 것을 억누르고 사시나요? (0) | 2014.06.12 |
피부 점 몇 갠지 보면 '유방암' 위험 알 수 있다 (0) | 2014.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