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신경계 질환

주말 나들이, 갑작스런 응급사고 ‘어쩌지?’

pulmaemi 2013. 6. 3. 16:24

골절 의심스럽다면 가능한 움직이지 말고 골절부위 고정해야

 

[메디컬투데이 김진영 기자]

# 7살과 4살배기 두 아이를 둔 주부 이정미(39세)씨는 얼마 전 아이들과 한강 시민공원에서 단란한 시간을 보냈다. 한창 뛰어놀 시기의 아이들이 개구지게 놀고 있는 사이 잠깐 한눈을 판 것이 실수였다. 큰 아이가 자전거를 타다가 마주 오는 행인과 크게 부딪치는 사고가 일어난 것.

당황한 이정미씨는 우는 아이를 달래느라 정신이 없어 어떻게 대처해야할지 몰라 허둥댔다. 부상 정도를 알아내기 위해 아이가 아프다고 말하는 팔을 연신 주물렀지만 아이의 울음소리는 더욱 커져만 갔다.

가까운 병원 응급실을 찾아 X레이 촬영을 한 결과 아이의 팔은 골절이었다. 이씨는 아이를 진찰한 의사로부터 사고 발생 시 이곳저곳을 만진 게 화근이라는 꾸지람을 들어야 했다.

최근 나들이하기 좋은 날씨 덕분에 야외활동이 늘어났지만 뜻밖의 응급사고 발생 시에는 제대로 된 대처법을 숙지하고 있는 경우는 드물다. 전문의들은 골절이 의심될 경우 가능한 한 움직이지 말 것을 당부했다.

◇ 골절 발생 시엔 가능한 움직이지 않고 빨리 이송해야

우리나라에서 소아골절은 손목 주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팔꿈치(주관절), 쇄골, 종아리뼈(경골), 아래팔(전완부), 허벅지뼈(대퇴골)의 순으로 발생한다. 특히 손목 골절은 10~14세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팔꿈치 주위의 골절은 특히 여름철에 빈번하다.

의료 시설이 없는 야외에서 소아가 다쳤을 경우 어떻게 하면 의료시설까지 안전하게 이동하는지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뼈나 관절 부위를 심하게 다쳐서 골절이라고 생각되면 다음의 응급처치에 따르는 것이 좋다.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손상부위를 가능한 한 움직이지 않도록 하며 불필요한 행동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 무리하게 손상된 골절부위를 원상태로 돌려놓으려고 시도하지 않는 것이 필요한데 그러한 시도가 뼈 주위의 근육, 혈관이나 신경을 더욱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는 손상부위를 고정하는 것이 필요한데 다친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올린 상태에서 부목을 골절부위에 대고 골절부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해 병원으로 이송해야 한다.

만일 골절부위에서 피가 나고 상처가 있으면 깨끗한 거즈나 천으로 덮고 붕대로 감아서 압박 지혈을 해야 한다. 이때 압박을 너무 심하게 하면 안되며 부목은 골절된 뼈의 양쪽 관절 너머까지 걸칠 만큼 긴 것을 사용한다.

이때의 부목은 꼭 나무가 아니더라도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면 주위에 보이는 어떤 것이든지 가능하다. 신문지 뭉치나 잡지, 담요, 배게 등을 부목 대용으로 사용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분당서울대병원 정형외과 박문석 교수는 “골절부위를 고정하는 것은 환자의 통증을 경감 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병원에 갈 때까지 이동에 따른 추가 손상을 막을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절차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 교수는 “골절부위는 대부분 열이 나고 붓기 마련인데 이송 도중 환부를 식히거나 혈류량을 감소시켜 출혈을 억제하고 부어오르는 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냉찜질을 해주는 것이 좋다”며 “냉찜질은 병원균의 활동도 억제시키며 감각을 둔하게 해서 통증도 덜 느끼게 한다”고 설명했다.

◇ 찰과상엔 세척, 보호, 치유가 중요

찰과상이란 긁힌 상처를 말한다. 손상된 피부가 깨끗하지 않고 다양한 깊이로 손상을 얻고 표피의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찰과상의 치료는 세척, 상처의 보호 그리고 상처 치유를 증진시키는 3단계로 나눌수 있으나 응급상황에서는 세척과 보호만 해도 훌륭한 처치가 될 수 있다.

야외활동을 하다가 찰과상을 입게 된 경우 가장 먼저 해야할 것은 세척이다. 상처를 입으면서 흙, 모레 등의 오염물질이 상처 사이사이에 끼게 되는데 세척을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급선무인 것.

생리식염수를 다량 상처부위에 흘려 세척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만약 이것이 여의치 않은 상황이라면 식수(생수), 수돗물 혹은 음료수를 이용해 세척해도 된다. 약간의 수압을 가해 세척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상처를 너무 강하게 문지를 경우에는 상처에 추가적인 손상을 가져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세척을 한 후에도 제거되지 않는 이물질이 있을 경우 병원을 방문해 제거해야 한다. 흔히 알려진 상식 중 알코올이나 술을 이용해 소독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단백변성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좋지 않다.

세척 완료 이후 과정은 상처 보호인데 이는 표피층이 손상돼 다른 오염물이나 세균 등에 노출될 수 있는 상처에 보호막을 형성하고 통증을 경감시키는 작용을 한다.

분당서울대병원 성형외과 허찬영 교수는 “상처의 크기에 따라서 알맞은 반창고, 메디폼, 습윤 드레싱 제제 등을 선택해 이용한다. 흔히 알려진 상식과는 달리 상처에 적당한 습도가 있어야 상처 치유가 빨라지므로 반창고나 메디폼 등을 이용할 경우 습윤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항생제 연고 제재를 추가로 바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메디컬투데이 김진영 기자(choice0510@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