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신경계 질환

소득·교육 낮은 계층 골다공증 유병율 2배 높아

pulmaemi 2013. 2. 8. 08:34

건강불평등 지수 학력별 최대 4.73배-소득별 최대 3.61배 차이

 

[메디컬투데이 김소희 기자]

우리나라 국민의 소득과 교육 수준, 즉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골다공증 유병율 차이가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김형렬(교신저자)·명준표(제1저자) 교수팀은 2008년, 2009년 제4차 국민건강영향조사 자료 중 골밀도 검사를 받은 9995명을 대상으로 학력과 소득정도에 따라 골다공증 유병률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남성과 폐경 전·후 여성 총 3그룹으로 나눠 학력은 초·중·고·대학교 이상으로, 소득정도는 한달 평균 수입을 기준으로 총 4분위로 분류했다.

그 결과 초등학교 이하 학력을 가진 사람이 대학교 이상 학력을 가진 사람에 비해 골밀도 수치가 최대 0.123g/cm2 낮았다. 가계소득 수준 역시 소득이 가장 적은 사람이 가장 높은 소득수준의 대상자 보다 골밀도 수치가 0.090g/cm2 낮았다.

초등학교 이하 학력군의 골다공증 유병률은 남성 8.2%, 폐경기 여성 39.0%으로 대학이상의 학력군의 남성 4.4%, 폐경기 여성 21.6%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가계 소득이 낮은 사분위에 해당되는 남성의 유병률은 10.5%로, 가장 높은 소득군의 5.3% 비해 약 2배가량 높았다.

학력에 따른 골다공증 건강불평등 지수부분은 학력이 낮은군의 남성은 3.29배, 폐경후 여성은 4.73배 골다공증 유병률을 보였다. 소득에 따른 건강불평등 지수 역시 저소득 가정일수록 남성은 3.61배, 폐경후 여성은 2.7배 높았다.

직업환경의학과 명준표 교수는 “교육수준과 가계소득이 높을수록, 최대 골량이 형성되는 영유아청소년 시기에 건강과 영양관련 정보를 많이 얻는 기회가 생기고, 골 건강에 이로운 음식을 섭취하며, 운동의 기회가 많을 뿐 만 아니라 건강에 대한 관심을 더 보이기 때문에 골다공증이 적게 생기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형렬 교수는 “이미 사회경제적 지위가 비만이나 심혈관질환 같은 만성질환 발생과 영향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었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골다공증에서도 건강불평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김 교수는 “최근 소득불균형이 심해짐에 따라 소득과 교육이 낮은 사람들의 골다공증도 급증할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로 인해 발생할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예방과 관리를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Calcified Tissue International’ 2012년 5월호에 게재됐다.

 
메디컬투데이 김소희 기자(kimsh333@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