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코·귀·피부

무의식중 목소리 떨림…연축성 발성장애

pulmaemi 2012. 8. 27. 13:59

뇌-후두 신경전달과정 과도한 신호로 발생

 

[메디컬투데이 박으뜸 기자]

최근 한 케이블 방송가수 오디션 프로그램인 ‘슈퍼스타K4’에서는 연축성 발성장애를 앓고 있는 한 참가자가 장애를 딛고 당당히 슈퍼위크에 진출해 주위에 감동을 줬다.

이미 디지털 싱글을 발매하고 인터넷방송 등을 통해 활약한 ‘인터넷 가수’ 연규성 씨는 연축성 발성장애로 가수의 꿈을 접어야했지만 장애를 극복하고 이날 감동적인 목소리로 심사위원들의 감탄을 자아냈다.

연씨의 노래를 들은 한 심사위원은 “연축성 발성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노래를 한다는 것은 팔, 다리를 쓰지 못하는 사람이 운동선수를 하는 것과 같다”며 “도전자체가 정말 멋지다”고 평했다.

생소한 ‘연축성 발성장애’가 어떤 질병이기에 잘 나가던 인터넷 가수가 가수의 꿈을 접어야 했었던 것일까. 을지대학병원 이비인후과 박경유 교수의 도움말로 알아본다.

◇ 후두 말더듬, 20~30대 젊은 여성층에 발생

일명 ‘후두 말더듬’이라 불리는 연축성 발성장애(Spasmodic dysphonia)는 발성기관을 형성하는 후두근육들에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근육의 수축이 일어나고 성대의 진동이 불규칙해져서 목소리의 떨림이나 끊김 현상 등 음성, 발성장애를 일으키는 질병으로 주로 20~30대 젊은 여성을 중심으로 나타난다.

연축성 발성장애의 목소리 떨림이나 끊김 현상은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발생하며 조절할 수도 없어 전화통화를 하거나 큰 소리로 말을 할 때 특정발음이 잘 되지 않는 등의 증상을 보이며 노래를 부르는 사람은 고음을 내기 어렵고 목소리가 갈라지고 쉬는 등 노래를 부를 수 없게 된다.

현재까지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지만 대인관계의 갈등이나 환경적 스트레스 등의 심리적인 원인과 뇌에서 뇌간, 뇌간에서 후두까지 도달하는 신경전달과정에서 일부 억제신경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과도한 신호를 후두에 보내 발성에 관련된 약 50개의 후두근육 중 일부가 잘못된 움직임을 갖게 되는 신경학적인 원인이 동시에 관여한다고 추정되고 있다.

을지대학병원 이비인후과 박경유 교수는 “긴장, 불안 등 정신적인 문제나 성대 결절, 폴립 등의 구조적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도 목소리 떨림, 끊김 현상 등 연축성 발성장애와 비슷한 증상이 발생한다”며 “무의식적으로 특별한 단어나 발음을 할 때 목소리가 빠르게 떨리거나 끊기는 등의 증상을 보이면 연축성 발성장애를 의심할 수 있으니 정확한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을 위해 전문의를 찾아야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연축성 발성장애는 중추신경계 이상의 신경학적 원인이 관여하기 때문에 신경과나 신경외과의 협진이 필요하다.

보톡스 주사 치료로 증상 완화 가능

연축성 발성장애는 현재까지 완벽하게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은 없으나 문제를 일으키는 일부 후두근육을 찾아낸 후 선택적으로 소량의 보톡스를 주입하는 보톡스 주사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을지대학병원 이비인후과 박경유 교수는 “보톡스 주사 치료는 95~99%의 높은 치료효과를 볼 수 있지만 연축성 발성장애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보다는 증상을 완화시켜 편안한 목소리를 내도록 유도하는 치료방법으로 주사 치료 후 3~4개월이 지나면 효과가 사라져 지속적인 보톡스 주사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보톡스 주사 치료는 시술 후 쉰 목소리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시술 후 세심한 관찰을 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