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 양혜인 기자]
라식 수술을 하기 전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검사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29일 각막이상증연구소에 따르면 세브란스병원 안과 김응권 교수와 카이스트 이상엽 박사 등은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은 정식명칭으로는 제2형 과립형각막이상증으로 불리며 1988년에 처음으로 이탈리아 아벨리노 지방의 이민 온 가족에서 발견돼 세상에 알려지게 됐다.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은 양안 각막 중심부에 혼탁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상염색체 우성유전을 하는 유전 질환이다.
이 질환은 서서히 진행되며 나이와 개인 생활 및 환경의 차이에 따라 진행 속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질환이 진행되기 시작된 이후에는 현재까지 완치 방법은 없다.
국내의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은 세브란스병원 김동원 교수 연구팀에 의해 알려졌으며 국내의 아벨리노 이형접합자 발생 빈도가 870명 중 1명 정도로 추정될 만큼 흔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응권 교수는 국내의 인구를 4800만명으로 가정할 때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의 원인이 되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는 인구는 5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은 초기에 경계가 명확한 과립상의 침착물이 각막상피하 및 각막전기질 부위에 생기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크기와 개수가 증가하고 선상 또는 성상의 침착물이 각막기질 중간부 및 후반부까지 진행되는 것으로 보고된다.
유전자의 돌연변이 형태에 따라 3~5세 부터 증상이 발생해 유년기에 실명에까지 이르게 되거나 발병과 진행이 느려 대부분 시력이 보존되고 말년에 이르러서야 시력이 손상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10대 이후에는 각막에 흰 점이 보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20대와 30대에 들어서도 유전적 요인이나 생활환경 등의 차이에 의해 각막에 흰 점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각막이상증연구소 관계자는 "시력교정을 위해 라식, 라섹 등의 레이저 수술로 각막에 상처를 받게되는 경우에는 각막혼탁이 급격히 진행해 시력저하를 초래하게 된다"며 "따라서 유전자의 돌연변이 유무를 먼저 확인 후 시력 교정술을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29일 각막이상증연구소에 따르면 세브란스병원 안과 김응권 교수와 카이스트 이상엽 박사 등은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은 정식명칭으로는 제2형 과립형각막이상증으로 불리며 1988년에 처음으로 이탈리아 아벨리노 지방의 이민 온 가족에서 발견돼 세상에 알려지게 됐다.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은 양안 각막 중심부에 혼탁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상염색체 우성유전을 하는 유전 질환이다.
이 질환은 서서히 진행되며 나이와 개인 생활 및 환경의 차이에 따라 진행 속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질환이 진행되기 시작된 이후에는 현재까지 완치 방법은 없다.
국내의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은 세브란스병원 김동원 교수 연구팀에 의해 알려졌으며 국내의 아벨리노 이형접합자 발생 빈도가 870명 중 1명 정도로 추정될 만큼 흔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응권 교수는 국내의 인구를 4800만명으로 가정할 때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의 원인이 되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는 인구는 5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은 초기에 경계가 명확한 과립상의 침착물이 각막상피하 및 각막전기질 부위에 생기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크기와 개수가 증가하고 선상 또는 성상의 침착물이 각막기질 중간부 및 후반부까지 진행되는 것으로 보고된다.
유전자의 돌연변이 형태에 따라 3~5세 부터 증상이 발생해 유년기에 실명에까지 이르게 되거나 발병과 진행이 느려 대부분 시력이 보존되고 말년에 이르러서야 시력이 손상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10대 이후에는 각막에 흰 점이 보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20대와 30대에 들어서도 유전적 요인이나 생활환경 등의 차이에 의해 각막에 흰 점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각막이상증연구소 관계자는 "시력교정을 위해 라식, 라섹 등의 레이저 수술로 각막에 상처를 받게되는 경우에는 각막혼탁이 급격히 진행해 시력저하를 초래하게 된다"며 "따라서 유전자의 돌연변이 유무를 먼저 확인 후 시력 교정술을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메디컬투데이 양혜인 기자(lovely@mdtoday.co.kr)
'눈·코·귀·피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택트렌즈 처음 사용한다고? 각막부작용 줄이려면 (0) | 2011.08.16 |
---|---|
난치성 아토피피부염…'지속적 피부관리·맞춤치료' 중요 (0) | 2011.08.16 |
"틈만나면 가려워"…여름에 더 괴로운 '무좀' (0) | 2011.07.25 |
피부암 "단순 검버섯이나 종기로 오인하기 쉬워" (0) | 2011.07.12 |
라식·라섹 전에 체크해야 할 각막질환은(?) (0) | 2011.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