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건강

시린 이, 대체 왜?

pulmaemi 2010. 2. 8. 16:47
증상과 원인 다양…방치시 증상 악화될 수 있어

[메디컬투데이 정희수 기자]


박모(여·33)씨는 “아이스크림을 좋아하는데 이가 시려서 맘대로 먹지 못해 속이 상한다”며 “요근래에는 뜨거운 국물을 마실 때도 이가 시려서 걱정된다”고 토로했다.

김모(남·42)씨는 “퇴근 후 집에 와서 오징어에 찬 맥주 한 캔 마시는 것을 좋아하는데 이도 시리고 딱딱한 음식이 치아에 안 좋은 것 같아 많이 먹지 못한다”며 “회사에서 회식할 기회가 자주 있는데 회식마저 부담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추운 날 뜨거운 국을 마실 때, 동치미 국물을 마실 때 시린 이에 고통을 호소하는 이들이 있다. 찬 음식이나 더운 음식을 먹을 때 순간 치아신경이 놀라 찌릿찌릿한 증상을 느끼게 된다.

전문의들은 찬 음식을 먹었을 때 이가 시린 것은 다양한 구강질환의 전조증상이자 치과질환 중 하나일 수 있는데 이를 가볍게 넘기기보다는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보는 게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 시린 이 원인 가지각색

시린이 증상은 구강질환의 전조증상일 수 있는데 특히 충치가 대표적이다.

충치로 인해 치주질환이 생길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치아 주위에 염증이 생겨 치아의 신경전달 체계가 예민하게 되고 시리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

또 풍치라 불리는 치주염이 생길 경우 잇몸이 내려앉아 치아 뿌리가 드러나면서 시린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충치 진행이 심해질수록 치아 가운데 들어있는 신경 벽이 점점 가깝게 드러나면서 감각이 예민해지고 시린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한편 또 다른 원인으로는 외상성에 대한 문제가 있다.

외상성이란 좌우로만 과도하게 칫솔질을 하는 등 올바르지 못한 칫솔질 습관으로 인해 치아표면의 법랑질이 삼각형으로 파이게 되는 경우다.

충치가 치아 안쪽의 신경부분까지 진행되면 시린 증상이 생긴다. 특히 금니 등 보철물은 교체할 시기를 놓칠 경우 치아 사이에 들뜸 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그 사이로 음식물 찌꺼기가 들어가 다시 충치를 유발해 시린이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양대병원 치과 오영 교수는 "법랑질이 깨지면 찬 것, 뜨거운 것, 단 것, 신 것 등의 감각이 민감해지는데 찬 음식보다 뜨거운 음식에 이가 시리다면 치아상태가 심각한 수준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오 교수는 "치아부위 궤사로 인한 경우일 수 있어 치과 전문의의 치료를 받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치료시기를 놓치지 않으면 신경치료 단계로 끝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치아를 뽑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 원인에 따른 치료 중요

시린 이의 증상은 사람마다 다르고 원인도 다양하기 때문에 '이가 좀 시리네'라고 생각하고 무심코 방치치하다 충치와 치주질환 등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시린이 증상이 지속적으로 계속되면 치아를 감싸고 있는 법랑질이 이미 많이 파괴됐다는 신호이므로 병원에 와서 전문의 치료를 받아야 한다.

경희의료원 치과대학 부속치과병원 치주과 권영혁 교수는 "나이가 들면 잇몸이 뿌리쪽으로 내려가게 되는데 이 경우 뿌리가 구강내로 노출되게 된다"며 "치약 속에는 마모제가 들어있는데 강한 마모제일수록 내각질이 깎이면서 상아질이 노출되게 되고 온도에 민감해지면서 이가 시리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권 교수는 "치주염으로 인해 풍치가 있을 경우에도 이가 시릴 수 있다"며 "원인에 따른 치료를 해야 하고 치과 건강검진은 6개월마다, 스케일링은 3개월마다 받으면서 미연에 예방적인 치료를 하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강릉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생리학 김경련 교수는 "송곳니가 꺾이는 부분을 옆으로 닦지 말고 변형 바스법을 이용해 아래위나 원을 그리듯이 골고루 닦는 것이 중요하다"며 "칫솔을 강하게 쓰지 말고 칫솔 털은 부드러운 것이 좋으며 마모성이 강한 치약은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고 덧붙였다.
메디컬투데이 정희수 기자 (elizabeth@mdtoday.co.kr)

관련기사
  ▶ 봄에 태어난 아이들 '다발성경화증' 흔하다
  ▶ '전립선암' 호르몬 치료 '심장병' 유발
  ▶ 새로운 대장암 억제인자(RORα) 발견
  ▶ 커피 속 카페인, 뇌암세포 성장 둔화시킨다
  ▶ 65세 이상 10명중 4명 전립선비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