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고동현 기자] 최근 병원에 내원한 20대 환자는 허리디스크라는 진단에 믿을 수 없다는 표정을 지었다. 환자가 그동안 생각해온 허리디스크는 노화에 의해 주로 중장년층 이상에서만 나타나는 질환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자기기의 발달과 재택근무의 영향으로 허리디스크 환자가 늘고 있는 추세다. 허리디스크는 척추뼈와 뼈 사이에 위치한 디스크가 탈출해 신경을 압박하고 통증을 유발한다. 디스크 탈출의 원인은 노화도 있지만, 잘못된 자세를 오래 취할 경우에도 디스크가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리를 구부정하게 하고 앉아 있거나, 오랜 시간 다리를 꼬고 앉아 있는 경우, 또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들여다보기 위해 목을 앞으로 쭉 내밀거나 고개를 푹 숙이는 경우에 척추에 강한 압력을 줘 디스크가 손상된다.
평소에 허리 통증이 단순 근육통 이상으로 자주 나타난다면 반드시 병원에 내원해 정밀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허리디스크 증상은 허리 통증뿐만 아니라 엉덩이, 다리까지 통증이 나타나고, 서 있는 자세보다 앉아 있는 자세에서 강한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또 재채기나 기침을 할 때 순간적인 허리 통증이 나타나거나, 누운 상태에서 한쪽 다리를 들어 올리는 동작이 어려운 경우, 인사를 하듯 앞으로 숙이는 행동을 할 때 등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에 속한다면 정밀 진단을 받아봐야 한다.
대구 서울에이스통증의학과 권일치 원장은 “허리디스크는 방치할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에 치료해야 한다. 초기에는 주사치료나 물리치료 등 보존적 요법만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고, 그 외에도 도수치료, 감압치료, 신경차단술 등 비교적 간단한 비수술적 치료를 시도해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 중에서도 신경차단술은 정형외과, 통증의학과 등에서 주로 진행하는 비수술적 치료로 마취나 절개, 출혈이 없기 때문에 고혈압, 당뇨병 환자도 시술받을 수 있는 방법이다. 통증을 일으키는 신경 가까이에 주사로 약물을 주입해 치료한다”고 덧붙였다.
신경차단술은 특수영상 치료장비로 알려진 C-ARM을 통해 병변부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시술이 이뤄져 정확도가 높고, 허리디스크 통증을 완화하는 것은 물론 염증·부종을 줄여 혈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도울 수 있다.
다만 개인에 따라 시술 후 주사 통증을 느끼거나, 주사액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강한 압박감과 불편함 등을 느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의료진에게 증상을 전달하면 된다. 또한 비수술 치료라고 하더라도 개인에 따라 효과가 다를 수 있어 충분한 상담을 통해 시술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메디컬투데이 고동현 기자(august@mdtoday.co.kr)
'아동·청소년·청년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릎 퇴행성관절염, 발병 연령 낮아져…젊어도 주의해야 (0) | 2022.07.14 |
---|---|
“백내장, 황반변성 등 노인성 안질환, 젊은 층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0) | 2022.07.14 |
간수치 높아지는 젊은 男 ↑ (0) | 2022.06.28 |
극단적 선택 시도로 인한 10대 청소년 응급실 내원, 4년간 2배 이상 ↑ (0) | 2022.06.28 |
근시 진행 억제 드림렌즈, 지속적으로 관리 받아야 (0) | 2022.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