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김준수 기자] 허리통증이나 다리저림 증상이 나타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허리디스크를 의심하게 된다. 디스크가 대표적인 척추질환이라고 알려졌기 때문인데, 이러한 증상들은 이상근증후군일 수도 있어 정밀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이상근증후군은 엉덩이와 다리를 연결하는 고관절을 붙잡아주는 근육인 ‘이상근’이 과도하게 긴장하거나 비대해지면 좌골신경을 압박하면서 통증 및 저림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특히 환자 스스로 구분하기 어려우므로 반드시 전문의에게 진단을 받아봐야 한다. 단순 통증으로 여기고 방치할 경우에는 합병증으로 인한 좌골신경 마비가 발생할 수도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주된 증상은 허리와 엉덩이 부위에 집중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다리에 저림과 통증도 발생할 수 있고, 뒤쪽 대퇴부와 종아리에 비정상적인 신경학적 증상 및 국소동통이나 관련통이 나타날 수도 있다.
이 외에 고관절, 사타구니, 항문 주변, 허벅지 뒤쪽, 다리, 발등에도 통증을 느낄 수 있다. 이 같은 증상들은 허리디스크를 비롯해 척추관협착증 등의 증상과도 비슷하기 때문에 자신이 느끼는 증상을 면밀히 살펴보고 전문 검사를 통해 정확히 진단한 뒤 치료받아야 한다.
김해 서울베스트신경외과 강형래 원장은 “무엇보다 이상근증후군은 평소 잘못된 자세 및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리를 꼬거나 둔부를 압박하는 등 엉덩이 근육을 긴장하게 만드는 잘못된 자세를 피하고, 엉덩이 쪽 스트레칭으로 이상근의 긴장을 풀어주면 증상을 호전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어 “다만 이러한 방법으로도 증상이 완화되지 않을 경우에는 도수치료와 프롤로주사 증식치료 등의 비수술적 요법을 고려할 수 있다. 도수치료는 전문치료사가 직접 힘을 가해 통증을 개선하는 치료다. 굳은 근육을 이완시키고 척추의 미세한 틀어짐을 바로잡음으로써 전체적인 몸의 균형을 맞춰주는 방식이다. 따라서 혈액순환 및 부종, 염증 개선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메디컬투데이 김준수 기자(junsoo@mdtoday.co.kr)
'근골격계·신경계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합 만성질환 앓는 60대 이상 男, 女 보다 우울증 위험 1.2배 ↑ (0) | 2022.06.30 |
---|---|
허리 신경 통증, 무조건 디스크? 척추관협착증 증가세 (0) | 2022.06.22 |
추나요법, 목 통증 환자 치료 시 진통제·물리치료 보다 '경제적 (0) | 2022.06.10 |
발바닥 저림 및 통증…‘족저근막염’과 ‘지간신경종’ 구분법 (0) | 2022.06.10 |
만성적인 허리 통증 주요 원인과 치료법 (0) | 2022.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