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습관병

장내 미생물, 치매와 어떤 관련 있을까?

pulmaemi 2022. 2. 7. 12:52

[메디컬투데이=최재백 기자] 장내 미생물군이 치매에 걸릴 위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장내 미생물군이 치매에 걸릴 위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실렸다.

장내 미생물군(Gut microbiome, Microbiota)은 식이요법·약물·질병 등의 영향을 받아 지속적으로 변화하며 뇌를 포함한 정상 인체의 기능을 조절하는 데에 중요하다.

특히 내장과 뇌 사이의 연결망인 장-뇌축(GBA)은 뇌의 감정적·인지적 중추와 소화 기능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상호작용이 장내 미생물군의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장내 미생물에 의한 소화 과정에서 생성되어 결국 뇌까지 유입될 수 있는 부산물에 주목했고, 특히 기분·인지·학습·기억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Serotonin)을 강조했다.

그들은 세로토닌의 90%가 장내 미생물 대사 작용의 부산물이므로, 건강한 장내 미생물군이 최적의 뇌 건강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장내 세균이 음식에 포함된 난소화성 섬유질을 분해하는 단사슬 지방산을 만드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화합물 또는 대사물은 염증을 줄이고 내장 벽과 혈액뇌장벽을 강화할 수 있다.

 

하지만 장내 미생물군이 균형을 잃으면 전신 염증이 촉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태를 군집붕괴(Dysbiosis)라고 한다.

군집붕괴는 위장관 장애는 물론 치매 등 뇌에 영향을 미치는 진행성 질환과 연관이 있다.

치매는 사고력·기억력·결정 능력 저하를 포함해 의사소통과 시각적 지각에 잠재적인 문제를 동반하며, 생물학적으로 뇌의 신경 세포인 뉴런이 손상 또는 소실되어 발생한다.

최근 연구는 치매에 걸린 사람과 걸리지 않은 사람의 장내 미생물군 차이를 강조하며 장내 미생물군의 변화가 치매 위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치매 환자의 장내 미생물군은 미생물 다양성이 감소해 있었으며, 구체적으로는 후벽균(Firmicutes)·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수는 적고, 박테로이데테스(Bacteroidetes) 수가 많았다.

연구원들은 치매 환자의 장내 미생물군에는 염증촉진성 세균이 많고 항염증균은 적었다고 전했다.

그들은 장내 미생물군의 이러한 세균 구성이 뇌의 염증을 촉진해 높은 수준의 인지 장애를 유발하고 알츠하이머병의 ‘신호’인 아밀로이드 플라크의 발달을 촉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추가로 장내 미생물군에 의해 생성된 지방산이 증가하면 내장의 세포를 파괴되어 전신 염증으로 이어져 뇌에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축적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원들은 치매 위험을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은 섬유질이 풍부한 ‘녹색’ 식단을 먹고, 적절한 수면을 취하며 꾸준히 운동하는 등 생활습관을 개선하여 건강한 장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그들은 식이 요인을 조절함으로써 치매를 지연시킬 수 있으며, 인지 저하 및 치매에 대한 향후 치료법에 장내 미생물군을 변화시키는 방법이 포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메디컬투데이 최재백 기자(jaebaekchoi@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