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 김동주 기자]
만 2∼3세 아이 6명 중 1명꼴로 비만 또는 과체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또래 과체중ㆍ비만아 부모 중 1명 이상이 비만 상태일 정도로 부모의 비만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확인됐다.
가톨릭대 간호대 이종은 교수팀이 2016∼2018년 보건복지부의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2∼3세 아이 487명과 이들의 부모 895명(아버지 412명ㆍ어머니 483명)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교수팀은 2∼3세아의 비만 여부는 만 2∼18세의 소아ㆍ청소년 비만을 진단할 때 사용하는 2017년 소아ㆍ청소년 성장도표의 체질량지수 백분위 수를 이용해 판정했다.
아이의 체질량지수 백분위 수가 5 이상∼85 이하이면 정상 체중, 85 이상∼94 미만이면 과체중, 95 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했다. 아이 부모의 비만 여부는 체질량지수(BMI, 자신의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비만의 척도, ㎏/㎡)로 판정했다.
정상 체중인 아이는 전체의 84.2%(410명)였고, 과체중이거나 비만한 아이는 15.8%(77명)였다. 비만ㆍ과체중아와 정상 체중아는 하루 칼로리와 지방 섭취량에서 이렇다 할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아이가 과체중ㆍ비만 상태인 데는 부모의 영향이 더 컸다. 과체중ㆍ비만아의 부모 중 1명 이상이 비만 상태였다.
과체중ㆍ비만아 아버지의 평균 체질량지수(BMI)는 26.4로, 정상 체중아 아버지(25.3)보다 높았다. 과체중ㆍ비만아 어머니의 평균 BMI(25.1)와 정상 체중아 어머니의 BMI(22.5) 차이는 더 컸다.
이 교수팀은 논문에서 “아이 부모의 BMI가 높으면 2∼3세아의 과체중ㆍ비만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며 “만 2∼3세는 부모의 영향을 많이 받는 시기이고, 생활습관이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전이어서 부모가 비만한 아이에 대해선 이른 시기에 비만 예방에 신경 쓸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동기 비만이 개선되지 않으면 성인기 비만으로 이어질 확률이 80%까지 이른다. 아동기 비만은 대사증후군 등 성인병 발생 위험을 높이고, 성인이 된 후 조기 사망률의 증가와도 관련이 있다. 아이의 비만은 신체적 문제뿐만 아니라, 아이의 자존감과 삶의 질 저하 등도 초래할 수 있다.
아이의 생후 첫 1년은 지방세포 크기가 성장하고 지방세포의 수는 안정적이지만 만 2세부터는 지방세포의 크기뿐 아니라 수도 함께 증가하게 된다. 비만아가 성인이 돼 체중을 줄이더라도 지방세포의 크기만 일시적으로 감소할 뿐이어서 비만이 재발하기 쉽다. 만 2∼3세의 비만이 청소년기의 비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도 나와 있다. 과체중ㆍ 비만 청소년의 90%가 만 3세에 이미 비만 상태였다는 연구논문도 있다.
한편 이 연구결과(만 2-3세 아동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2016-2018년) 자료 이용)는 대한보건협회 학술지(대한보건연구) 최근호에 실렸다.
메디컬투데이 김동주 기자(ed30109@mdtoday.co.kr)
'아동·청소년, 청년에게 꿈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릎관절염, 젊은층도 방심은 금물 (0) | 2022.06.30 |
---|---|
쉬는시간에도 휴대폰 사용 금지한 학교…인권위 "행동·통신 자유 침해" (0) | 2021.11.03 |
韓 청소년 비타민 D 결핍 79.3% 달해 (0) | 2021.06.17 |
2030세대 환자 40% ‘염증성장질환’…“설사 잦으면 의심해야할까” (0) | 2021.05.20 |
‘청년 살리자’ 대학 입학금 내년 전면 폐지···기숙사·국가지원금 확대 (0) | 2021.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