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계 질환

코로나 시대 운동 부족한 노인, "혹시 변비 없나요?"

pulmaemi 2021. 5. 6. 16:04

운동량 감소한 노인, 신체기능 뚝 떨어져 변비노출 위험 증가

 

[메디컬투데이 이대현 기자]

운동량이 부족한 노인층에서 변비가 쉽게 생길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변비는 전 인구의 5~20%가 증상을 호소할 만큼 매우 흔한 질환으로 연령이 증가하면 그 빈도가 증가하며 남자보다는 여자에서 흔하다. 특히, 노인은 젊은 층에 비해 활동량이 적고, 먹는 양의 음식과 수분 섭취가 적기 때문에 변비가 생기기 쉽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노인의 운동량 감소는 자연스레 신체 기능 감소로 이어지며 변비도 그 예외는 아니다.

변비란 배변 시 무리한 힘이 필요하거나 대변이 과도하게 딱딱하게 굳은 경우, 불완전 배변감 또는 항문 직장의 폐쇄감이 있는 경우, 일주일에 배변 횟수가 3번 미만인 경우 등을 말하며, 기질적 원인이 없는 기능성 변비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변비의 증상으로는 배변 시 과도한 힘 주기, 딱딱한 배변, 항문 폐쇄감, 복부 팽만, 하복부 통증 등이 있다.

변비는 원발성 원인과 이차성 원인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이차성 원인으로는 기질적 국소성 질환, 전신적 질환, 약제 사용 등이 있으며, 이차성 원인에 기인하지 않는 대장의 운동기능 이상이나 항문직장의 기능 이상을 원발성 원인으로 분류한다. 변비의 90% 이상이 뚜렷한 이차성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원발성 원인에 의한 변비이며, 이를 기능성 또는 특발성 변비라고 부른다.

변비에는 장운동이 늦어지는 서행성 변비, 장운동은 정상이나 대변을 형성할 수 있는 식이의 양이 적은 경우가 있으며, 노인층은 줄어든 신체 활동과 당뇨병 등으로 인한 서행성 변비와 음식과 수분 섭취가 적어 생기는 변비가 많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암 발생률 3위인 대장암으로 인한 협착으로 대변이 막혀 내려가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소화기병센터 최정민 교수는 “식사 후 변의가 생기면 참지 않고 바로 배변을 하고, 일정한 시간에 변기에 앉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며, “변기에 10분 이상 오래 앉아있는 것도 피하고, 활동이 적은 노인층에서는 집 근처를 20분 정도 산책하는 등 생활습관 교정이 대장 운동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적절한 음식과 수분 섭취도 중요하다. 이중 특히 식이섬유 섭취가 중요한데 식이섬유는 체내에서 분해되지 않으며 수분을 붙들어두는 능력이 있다. 식이섬유 섭취에서 중요한 것은 식이섬유 종류가 아닌 전체 섬유질 섭취량으로, 섬유소의 섭취량을 늘리기 위해 차전자피, 전곡류, 과일류, 채소류의 섭취를 늘리는 것이 필요하다.

약물치료로는 일반적으로 부피 형성 팽창성 하제를 사용하고 효과가 없으면 삼투성 하제를 사용하며, 만약 이러한 약물에도 반응하지 않으면 조심스럽게 자극성 하제를 사용한다. 대장내시경 하제로 이용되었던 PEG를 물에 타서 하루 1회 복용하는 약제도 상용화되었는데 매우 안전하며 만족도가 높다. 장 운동을 증진시키는 프루칼로프라이드 계열의 약제도 추가할 수 있으며, 기존 약제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두 가지 이상의 약제를 병용하거나 새로운 약제를 추가하면 변비에 효과적이다.

최 교수는 “노인층에서 체중감소, 혈변, 빈혈, 발열 등의 경고 증상이 있는 경우, 대장암이나 과거력 및 가족력이 있는 경우, 50세 이상에서 대장내시경을 한 번도 받지 않은 경우에는 병원을 방문하여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며, “증상의 시작 및 정도와 이차적으로 변비를 유발할 수 있는 질환과 관련 증상에 대한 다양한 검사를 통해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메디컬투데이 이대현 기자(dleogus1019@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