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뇌경색 발병률, 지난 20년간 급격히 증가
[메디컬투데이 박정은 기자]
뇌는 사람이 사람일 수 있게 만들어주는 구조물이라고 할 수 있다. 뇌가 있기 때문에 우리가 무엇이든 사고하고, 즐기고, 또 슬퍼할 수 있다. 뇌 하나만으로 살아갈 순 없지만, 뇌가 없다면 사는 의미도 없다고 할 수 있다. 뇌는 심장 다음으로 가장 중요한 장기라고 생각한다.
사람의 모든 장기를 관활하기에 뇌에 산소와 영양분이 원활하게 공급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뇌혈관에 문제가 생겨 막히면 산소와 영양 공급이 중단돼 뇌경색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뇌경색이 발생하면 뇌기능 손상에 의해 한쪽 팔다리 힘이 빠지거나 감각이 떨어지고, 발음이 어눌해지면서 언어장애가 발생한다. 심한 경우에는 의식 저하까지 발생하기도 한다.
뇌경색이 발생하는 이유는 매우 복합적이다. 많은 사람들이 ‘나이가 들면 발생하는질환’으로 알고있지만 최근에는 55세미만의 젊은 뇌졸중 환자들의 빈도가 늘어나는 추세다.
최근 젊은 환자들도 늘어나고 있는데, 45세 미만의 젊은 뇌경색 환자들의 경우 가장 큰 원인은 흡연과 비만으로 알려져 있다. 55세에서 74세 뇌경색 환자들의가장 큰 원인은 고혈압과 당뇨이고 75세이상의 고령환자에서는 심방세동이 뇌경색의 큰 원인이다.
뇌졸중은 혈관이 막히는 뇌경색과 혈관이 터지는 뇌출혈로 구분되는데, 이 중 뇌경색 비율은 지난 20년간 우리나라에서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물론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뇌경색 유발율이 높아지는 데 영향을 끼치지만 식습관의 변화도 큰 원인으로 제기되고 있다.
기름진 음식을 자주 먹으면서 혈관이 점점 막혀 뇌경색으로 이어지는 빈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지금 추세라면 2030년에는 35만 건까지 증가할것으로 예측된다.
뇌경색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혈관이 찢어져 생기는 혈관박리, 선천적 혈관이상, 혈액응고질환 등 외에도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비만, 심장질환, 흡연, 음주 등이 그 원인이다. 특히 고혈압, 비만, 흡연 및 음주 등의 요인은 상대적으로 환자 본인이 조절할 수 있는 위험인자로, 이를 잘 조절해도 어느정도 뇌경색 예방은 가능하다.
이미 뇌경색이 발생했거나 뇌경색으로 의심할 만한 증상이 보인다면 ‘골든타임’ 내에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
뇌경색은 뇌세포가 혈류공급이 안되어 생기는 비가역적 뇌기능 손실이다. 그렇기에 빠른 시간 안에 뇌로 다시 혈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치료를 해야 한다. 뇌경색에 의한 뇌세포 손상이 최소화되기 때문이다.
건국대병원 신경과 박정진 교수는 "‘골든타임’ 이란 보통 뇌경색 증상 발생 후 4.5시간 이내를의미한다. 최근에는 뇌의 큰 혈관이 막히는 사례는 경우에 따라서 혈관 내 치료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순환 대혈관 폐색에 의한 뇌경색의 경우 6시간부터 18시간까지 혈관이막힌 곳의 중심부가 팽창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시간 동안 1분에 190만 개의 신경세포가손상되고 138억개의 시냅스가 파괴돼 12km의신경섬유가 손상을 받는다. 이 때문에 신속한 치료를 통해 손상되는 뇌세포를 최소화해야 신경학적 결손이나 인지기능장애를 줄일 수 있다.
뇌경색 치료는 대부분 수술이 아닌 시술로 진행한다. 급성 뇌경색 환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혈압관리, 기도유지를 위한 기도 관리와 산소공급, 수액치료, 체온 유지, 그리고 심장 감시 및 혈당 관리를 시행한다. 혈액의 흐름을 복구하기 위해 ‘정맥내혈전용해술’이사용되며, 최근에는 ‘혈관 내 치료’ 법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혈관 내 치료를 위해서는 혈관 안으로 카테터를 삽입한 후, 기구를 이용해 혈관을 막은 혈전을 물리적으로 부수거나 혈관 밖으로 꺼내어 혈관을 재개통 시킨다. 급성 뇌경색의 동맥 내 치료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다. 내경동맥이나 중대뇌동맥의 폐색에 의한 급성 뇌경색의 표준치료법으로 인정받는 만큼 점차 확대되고 있다.
신경외과 전유성 교수는 "치료가 빠른 시간 안에 잘 마무리가 됐다면 그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재활이다. 뇌경색 환자는 뇌세포 기능이 손상을 입은 만큼 보행과 손사용, 언어 능력 등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데 재활을 빨리 진행할수록 후유증을 최소화 할 수 있다"고 전했다.
뇌경색은 한번 발생하면 되돌릴 수 없다. 따라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예방이다.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부정맥, 술, 담배 등의 뇌졸중 위험인자를 조심하고 혈압과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를 정기적으로 측정해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과일과 채소, 저염식, 통곡물 등으로 건강한 식사 습관을 유지하며 주 5회, 30분 이상의 중등도 강도로 빠르게 걷기, 테니스, 자전거 등의 운동을 꾸준히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담배는 백해무익이며 음주는 최대한 자제하는 것이 좋다.
메디컬투데이 박정은 기자(pj9595@mdtoday.co.kr)
'뇌·심혈관계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혈성 심장질환자 94만명…진료비 1조6511억원 (0) | 2021.03.05 |
---|---|
노년 뇌전증 환자 5년새 24% ↑…검사 필수 (0) | 2021.02.08 |
老, 코로나19로 활동량 줄이면 치매 증상 더 나빠진다 (0) | 2021.01.22 |
뇌동맥류, 파열되면 사망률 급증…생존해도 후유증 남아 (0) | 2021.01.19 |
치매 환자, 혼합형 치매 많아…예방적 관리가 우선적 (0) | 2020.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