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대비 2019년 20대 환자 증가율 25%로 30~50대 보다 높아
[메디컬투데이 박정은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집에서 온라인 강의로 수업을 듣고 있는 대학생 A씨는 요즘 집밖을 나갈 일 없이 자취방에서 배달음식으로 혼자 식사를 해결하고 밤에 자기 전에 술과 야식을 즐기다 잠들기 일쑤다. 그러다 최근 자던 중에 가슴이 타는 듯한 쓰림과 통증이 심하고 신물이 역류하는 느낌이 심해 병원을 찾았더니 ‘위식도 역류질환’ 진단을 받았다.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최근 들어 20대 젊은층의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 통계자료에 따르면 ‘위식도 역류질환’ 전체 환자는 2015년 386만 1265명에서 2019년 458만 1713명으로 약 19% 증가한 가운데, 이중 20대 환자는 2015년 31만 2039명에서 2019년 38만 9162명으로 약 2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증가율이 30대(11%), 40대(7%), 50대(10%) 보다 증가폭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위식도 역류질환’은 위에 있는 음식물이 식도를 역류하면서 가슴 쓰림 또는 가슴 통증, 쉰 목소리, 목 이물감, 삼킴곤란, 인후통, 기침, 천식, 속쓰림 등의 불편한 증상이나 합병증이 유발되는 질환으로, 매년 유병율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재발하기 쉽고 증상의 호전과 악화가 반복되는 특성이 있어 환자들이 평생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다.
위식도 역류질환이 매년 빠르게 증가하는 이유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식생활의 서구화와 비만 및 노령 인구의 증가로 위식도 역류질환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하부식도 괄약근 기능저하, 비정상적인 식도연하운동, 위산 과다, 위 배출지연, 식도점막의 저항력 감소 등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특히, 기름진 음식, 탄산음료, 커피 등 카페인 음료의 과다섭취와 집에서 자기 전에 배달음식, 야식, 혼술 등을 즐기는 사람이 늘면서 위, 식도 등 소화기관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급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중앙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김범진 교수는 “최근 몇 년 사이 20대 중심의 젊은층의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 증가폭이 늘어나고 있는데, 이 같은 이유는 언컨택트 시대에 혼자 사는 사람들이 집에서 배달음식 위주의 패스트푸드, 고지방식, 커피, 탄산음료나 식도 점막을 자극하는 매운 음식을 즐기거나, 집에서 혼술(혼자술마시기), 야식 후 바로 눕는 습관 등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범진 교수는 “밤늦게 식사하거나 기름진 음식을 과식한 후에 바로 눕게 되면 위산과 위속 내용물이 역류하게 되는데, 기름진 음식, 술, 커피, 탄산음료, 과식 등으로 인해 하부식도조임근의 압력을 낮추어 기능을 약화시키고 위산 분비를 촉진시켜 역류되는 위산과 위속 내용물들이 식도점막을 손상시키고 쓰리게 하는 증상이 반복되면서 위식도 역류질환을 일으키게 된다”고 말했다.
그렇기 때문에 위식도 역류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집에서 밤늦은 식사나 식후에 바로 눕는 습관, 과식 등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술, 담배, 기름진 음식과 매운 음식, 고염분식, 커피, 탄산음료, 민트, 초콜릿, 신맛이 나는 주스, 향신료 등의 섭취는 되도록 안하는 것이 좋다.
혹시 늦은 시간 식사를 하게 되었을 경우, 식사 후 바로 드러눕지 말고 20~30분 정도 산책 등 가벼운 운동을 하거나, 바르게 앉거나 선 자세로 충분히 소화를 시킨 뒤 2~3시간 뒤 눕는 것이 좋으며, 잠을 잘 때도 침대머리를 15도 정도 올리거나 옆으로 누울 때는 왼쪽으로 눕는 것이 위장의 내용물 역류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김범진 교수는 “잠을 잘 때 오른쪽으로 누우면 위장의 상부 식도 연결통로가 식도 쪽으로 아래 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음식물이 식도 쪽으로 역류하기 쉬운데, 왼쪽으로 눕게 되면 위장의 상부 식도 연결통로가 위쪽 방향을 향하게 되어 음식물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잠을 잘 때 왼쪽으로 눕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위식도역류 증상, 연하장애(음식물을 삼키기 어려운 증상), 출혈, 체중 감소, 빈혈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위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여 동반된 위장질환을 확인하고 식도염의 유무나 심한 정도를 평가하여 약물치료를 우선적으로 시행하면 대부분 증상이 호전된다.
김범진 교수는 “양성자 펌프 억제제(오메프라졸, 란소프라졸, 에소메프라졸, 라베프라졸, 판토프라졸 등)는 위식도역류질환의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약제이며, 증상이나 역류성 식도염의 정도에 따라 1~2개월 정도 초기 치료를 시행하면 대개 투여 1~2주일 내로 증상이 좋아진다”고 말했다.
하지만 현재의 약물 요법이 위식도 역류질환을 일으키는 근본 원인을 치료하지는 못하므로 투약을 중단하면 6개월 내에 약 80% 정도 재발하므로 장기간 복용하여 치료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역류성 식도염이 심한 경우에는 증상이 호전되더라도 합병증(식도협착, 출혈 등)의 방지를 위해 지속적으로 약물을 복용해야 한다.
실제 증상이 반복적으로 재발하여 수년 동안 지속적, 혹은 간헐적으로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도 많은데, 약물치료로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심한 경우 식도 궤양, 식도 협착, 식도암 등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중앙대병원 위장관외과 박중민 교수 연구팀이 국내에서 위식도역류질환 수술을 받은 환자를 분석한 연구 논문(Multicenter Prospective Study of Laparoscopic Nissen Fundoplication for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in Korea)에 따르면 수술을 받은 환자 중 대다수가 증상이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항역류수술을 받은 위식도역류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전과 수술 후 수술치료의 효과와 타당성을 평가한 결과, 97%(완치 87.9%, 부분개선 9.1%)가 수술 후 3개월 뒤 위식도 역류질환의 전형적인 증상인 가슴쓰림 증상이 완전히 없어지거나 개선되었으며, 위산 역류 증상도 94.3%(완치 82.9%, 부분개선 11.4%)가 해소된 것을 확인했다.
또한, 비전형적 식도 외 증상인 목에서 느끼는 이물감이나 만성기침 등의 증상도 81.9%(완치 45.5%, 부분개선 36.4%)가 개선되었을 뿐만 아니라 수술 후 부작용으로 삼킴장애가 대표적인데 수술 직후에는 72.5%에서 나타났으나, 3개월 뒤에는 18.5%에서만 있었고 심한 삼킴장애는 한명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식도와 위 사이에 있는 하부 식도 괄약근과 흉부와 복부를 구분하는 횡격막이 위에서 식도로 역류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데, 하부 식도 괄약근의 조이는 힘이 약해지거나 식도가 통과되어 내려오는 횡격막의 틈이 벌어져 열공탈장이 된 경우 위식도 역류질환 또는 역류성 식도염이 발생된다.
중앙대병원 위장관외과 박중민 교수는 “이런 위식도 역류질환의 수술적 치료인 ‘복강경 위저추벽성형 항역류수술’은 복강경을 이용해 위의 바닥부분(위저부)으로 느슨해진 식도 하부를 감싸주고 횡격막의 틈을 막아 적절하게 복원하여 위식도 역류를 방지하는 구조물들의 기능을 개선시켜주는 수술로 재발이 잘되는 환자들에게 보다 확실한 치료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 중에서 약물치료에도 효과가 없거나 효과가 있더라도 약물 부작용으로 약물치료를 지속하기 어려운 경우, 또는 약을 끊기만 하면 증상이 재발되어 도저히 약을 끊을 수 없는 경우 안전하고 비교적 간단한 수술을 통해 완치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오랜 기간 심한 고통 속에 지내는 사람의 경우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 후 수술이 가능할지 상담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메디컬투데이 박정은 기자(pj9595@mdtoday.co.kr)
'소화기계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변’ 보일 때 주저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 (0) | 2020.08.31 |
---|---|
치루, 수술이 가장 현명한 선택이다 (0) | 2020.08.28 |
소화성궤양 원인은 스트레스·우울 등 정신건강문제 (0) | 2020.07.06 |
현대인의 고질병 ‘치질’에 대한 진실 (0) | 2020.04.27 |
단순 치질인 줄 알았는데 염증성 장질환? (0) | 2020.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