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 손수경 기자]
심한 잠꼬대가 치매와 파킨슨병의 전조 증상 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날씨가 추워지면서 노인성 잠꼬대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난방을 하면서 실내가 건조해지고 코 속이 마르면, 수면 중 구강호흡로 인한 잠꼬대 증상이 더 심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해가 짧아지면서 세라토닌 호르몬 분비가 줄어들고, 이로인해 저녁에 잠자는 호르몬인 멜라토닌의 분비가 줄어들면, 수면의 질이 떨어지고 얕은 잠을 자게 되면서 잠꼬대가 심해지게 된다.
수면 중에 거친 욕을 하면서 싸우거나, 심한 경우 주먹을 휘두르고 심하게 움직이다가 침대에서 떨어지기까지 한다면 병적인 잠꼬대는 아닌지 의심 해 봐야 한다.
특히 50세 이상이면서 일주일에 한번 이상 이와같은 잠꼬대 증상이 있다면 치매나 파킨슨병의 전조 증상인 렘수면행동장애 일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
미국수면학회 Mahowald 박사는 렘수면행동장애가 있는 29명의 건강한 환자 중 38%가 치매, 파킨슨병 등 퇴행성 신경계 질환으로 발전했다는 연구를 발표 했다.
Mahowald 박사는 "우리는 어떻게 렘수면행동장애와 치매나 파킨슨병이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지 모른다”며 “하지만 치매나 파킨슨병의 징후나 증상이 없던 렘수면행동장애를 가진 환자의 약 40%가 결국에는 치매나 파킨슨병으로 발전 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이 말할 수 있다" 라고 강조했다.
서울수면센터 한진규 원장은 "원래 렘수면 동안에는 뇌간 안에 운동마비 조절 부위가 작동돼 움직임이 없이 숙면을 취하는 것이 정상이다”며 “그런데 뇌간에 질환이 있거나 뇌간에 운동조절이 문제가 되는 파킨슨병인 경우 렘수면동안 정상적인 운동마비 기능이 저하돼 수면중에 심한 잠꼬대나 움직임이 오히려 야기되고 렘수면행동장애가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잠꼬대 뿐만 아니라,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이 심한 경우에도 렘수면행동장애를 주의해야 한다.
한원장은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해 뇌에 공급하는 산소가 부족해지면 의사 결정과 판단에 관여하는 대뇌백질이 더 많이 손상되면서 렘수면행동장애로 발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메디컬투데이 손수경 기자(010tnrud@mdtoday.co.kr)
'뇌·심혈관계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연구진, 알츠하이머병 3가지 아형으로 분류 (0) | 2019.11.21 |
---|---|
눈 속 보면 '알즈하이머질환' 발병 위험 알 수 있다 (0) | 2019.11.18 |
혈액 검사로 동맥경화 진행 예측한다 (0) | 2019.11.07 |
뇌 속의 시한폭탄 뇌동맥류, 환자 절반이 40~60대 女 (0) | 2019.11.07 |
뇌척수액, 수면 중 뇌 노폐물 배출에 결정적 역할 (0) | 2019.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