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환경성질환, 안전

높은 수준의 감정노동을 경험한 근로자, 우울 증상 유병율 증가

pulmaemi 2019. 1. 16. 14:33

[메디컬투데이 지용준 기자] 

서비스 및 판매직 등 감정노동을 경험한 여성 근로자는 감정노동을 경험하지 않는 여성 근로자에 비해 우울증상을 경험할 위험이 2.19배 증가하였다.


최근 고려대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 한창수, 한규만 교수팀은 2007년에서 2009년 사이에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데이터를 분석한 논문 ‘서비스 및 판매직 근로자에서의 감정노동과 우울 증상: 성별 및 직무 자율성과의 상호작용’에서 서비스/판매직 종사자에서 감정노동과 우울증상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분석했다.

이 논문은 19세 이상 성인 서비스/판매직 근로자 2,055명 (여성 근로자 1,236명, 남성 근로자 819명)을 대상으로 작년 한해 동안 우울증상 (일상 생활에 지장을 일으킬만한 수준으로 2주 이상 지속되는 우울감)을 경험 해 봤는 지 여부를 조사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국내 서비스/판매직 근로자의 13.9%에서 작년 한 해 동안 우울증상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감정노동 여부는 직업 환경을 묻는 설문지에서 자신의 솔직한 감정을 숨기고 일해야 되는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서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라고 대답한 근로자를 감정노동을 경험하는 것으로 구분했다. 

그 결과, 전체 근로자의 42.8%에 해당하는 879명이 감정노동을 경험했다고 응답했으며, 감정노동을 경험한 근로자 중 18.5%에서 우울증상을 경험한 반면, 감정노동을 경험하지 않은 근로자 중에서는 10.4%만이 우울증상을 경험했다. 

특히 성별에 따른 분석에서는, 감정노동을 경험한 여성 근로자는 감정노동을 경험하지 않는 여성 근로자에 비해 우울증상을 경험할 위험이 2.19배 증가했다. 반면, 남성 근로자의 경우, 감정노동 여부가 우울증상의 위험을 유의하게 증가시키지 못하였다. 

이는 감정노동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다름을 시사한다. 또한, 감정노동은 여성과 남성 근로자 모두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경험할 위험을 각각 6.45배, 6.28배 증가시켰다. 

한편, 감정노동과 직무 자율성과의 상호작용을 살펴본 분석에서는, 남성 노동자의 경우 감정노동을 경험한 동시에 직무 자율성이 낮은 환경에서 근무하는 경우에만 우울증상의 위험이 2.85배 증가했으나, 감정노동을 경험하는 반면, 높은 직무 자율성을 갖는 환경에서 근무하는 경우에는 우울증상의 발생 위험이 증가하지 않았다. 

이와는 달리, 여성의 경우에는 감정노동과 직무 자율성 간의 상호작용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남성 근로자의 경우, 높은 직무 자율성이 우울증상에 대한 보호 요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한창수 교수팀은 감정노동이 서비스/판매직 근로자의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면서, 감정노동이 성별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친다고 봤으며, 특히 감정노동 경험하는 여성 근로자에서 우울증 발생의 위험이 높아진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높은 직무 자율성은 남성 근로자에서 감정노동의 우울증상에 대한 악영향을 줄일 수 있는 보호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결론 내렸다.

한창수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최전선에서 고객을 상대해야 하는 서비스/판매직 근로자들이 경험하는 감정노동이 우울증상의 위험을 명백히 높인다는 점을 시사하며, 특히 감정노동을 경험하는 여성 근로자들이 우울증 발생의 위험으로부터 취약함을 말해준다”면서 “추후 기업이나 정신 보건 정책 입안자들은 서비스 및 판매직 근로자의 감정노동 경험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2018년 9월, SCI급 국제학술지인‘Psychiatry Research’에 개재되었다.    
메디컬투데이 지용준 기자(yjun89@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