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 조용진 기자]
중앙치매센터는 60세 이상 한국노인의 치매유형 및 지역별 치매유병률, 경도인지장애유병률 등에 대해 2016년 6월부터 1년에 걸쳐 조사한 '2016년 전국 치매역학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016년 전국 치매역학조사의 유병률 결과에 따르면, 2018년 기준으로 60세 이상 노인의 치매유병률은 7.2%(환자수 77만명, 남성 29만명, 여성 48만명),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유병률은 10.2%(환자수 75만명, 남성 27만5000명, 여성 47만5000명)로 추정됐다.
경도인지장애 유병률은 2018년 기준 60세 이상 노인에서는 20.2%(환자수 220만명, 남성 100만명, 여성 120만명), 65세 이상 노인에서는 22.6%(환자수 166만명, 남성 57만명, 여성 109만명)로 추정됐다.
해외 여러 국가나 국제기구(WHO, ADI 등)에서 치매유병률을 60세 이상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보고하고 있는 반면, 2008년 및 2012년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노인 기준에 해당하는 65세 이상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시행됐다.
그러나 2016년 치매역학조사부터는 60세 이상을 포함하여 해외 유병률 수준과의 비교가 가능해졌으며, 이는 우리나라 국가치매관리사업의 대상 연령인 60세 이상과도 부합하여 정책 근거자료로서 활용성이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
치매 유형별 분포를 보면, 2008년 및 2012년 조사와 마찬가지로 알츠하이머치매가 가장 흔했고, 혈관성치매가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2008년 및 2012년 조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알츠하이머치매의 비율(74.4%)은 증가하고 혈관성 치매의 비율(8.7%)은 감소해 치매의 알츠하이머화가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경향이 뚜렷했다.
치매환자수가 100만명을 넘는 시점은 2012년 조사와 마찬가지로 2024년으로 추정됐으나, 200만명을 넘는 시점은 2039년으로 추정돼, 2012년 조사에 추정한 2041년보다 2년 빨라져 치매환자 증가속도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지난 8년간 70세 미만 초기 노령기 치매 유병률은 감소한 반면, 80세 이상 후기 노령기 치매 유병률은 증가한 선진국형 경향을 보였다.
2016년 실제 70세 미만 초기 노령기 치매유병률은 2008년 치매유병률조사에서 추정한 2016년 초기 노령기 치매유병률보다 낮았던 반면, 80세 이상의 후기 노령기 치매유병률은 2008년 조사에서 추정한 2016년 후기 노령기 치매유병률보다 높았다.
이는 우리나라의 치매 역학이 ‘고발병(high incidence)-고사망(high mortality)’ 단계에서 ‘고발병(high incidence)-저사망(low mortality)’ 단계를 거쳐 ‘저발병(low incidence)-저사망(low mortality)’ 단계로 변하고 있음을 추정케 한다.
고령(60~64세에 비해 치매 위험이 75~79세는 5.8배, 80~84세는 17.5배, 85세 이상은 35.2배), 여성(1.9배), 무학(4.2배), 문맹(읽기 불능 5.9배, 쓰기 불능 10.1배)이거나, 빈곤(4.7배), 배우자 부재(사별 2.7배, 이혼/별거/미혼 4.1배), 우울(4.6배), 두부 외상(2.4배)일 경우 치매 위험이 높았다.
운동량이 중강도 이상의 규칙적인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치매위험이 0.3배 낮은 경향을 보였다.
치매에 대한 인식도는 100점 만점에 65.9점으로 나타나, 2008년 및 2012년 전국 치매역학조사와 비교해 각각 4.0점, 1.2점이 유의하게 상승했다. 여전히 치매의 원인이나 치매증상 및 진단에 대한 네 항목들은 점수가 50점 미만으로 인식이 부족했다.
치매에 대한 태도(DAS)는 140점 만점에 79.4점으로 2012년에 비해 1.7점 유의하게 상승하였다(t=3.95, p<.05). 응답자의 77.7%는 치매에 대한 교육을 받은 적이 없었고, 58.0%가 방송을 통해 치매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시작된 정부의 치매관리종합대책과 중앙 및 광역치매센터 등 관련 인프라의 지속적인 구축의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이나, 여전히 인식도 수준이 70점을 밑돌고 있고 50점을 넘지 못하는 항목들도 다수 있어, 전국 치매안심센터가 지속적으로 치매인식개선 사업을 펼쳐나갈 필요가 있다.
메디컬투데이 조용진 기자(jyjthefake@mdtoday.co.kr)
'뇌·심혈관계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장마비' 앓은 후 오래 살고 싶으면 운동 하세요 (0) | 2019.01.08 |
---|---|
겨울철에 위험 높은 돌연사 원인 '급성심근경색' (0) | 2019.01.03 |
따뜻하게 몸 녹이는 사우나, 협심증 환자에겐 치명적 (0) | 2018.12.27 |
공립요양병원 설치·운영 현황 관리 강화한다 (0) | 2018.12.24 |
“플루오로퀴놀론 제제, 특정 환자서 대동맥 박리 위험 증가” (0) | 2018.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