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당뇨병 환자 진단 위해 당화혈색소 검사 국가 검진에 포함시켜야”

pulmaemi 2018. 9. 28. 11:17
공복혈당 추정 보다 당뇨병 진단 범위 넓어



[메디컬투데이 김동주 기자] 

당뇨병 전문가들이 급증하는 당뇨병 환자 조기 진단을 위해 당화혈색소 검사를 국가 건강검진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질병관리본부가 이달 초 게재한 ‘당뇨병의 효과적 예방을 위한 제언(교신저자: 아주의대 김대중 교수, 질본 질병예방센터 최수미·안은미·강성현·이강희)’에서 이 같이 밝혔다.

세계당뇨병연맹의 2017년 보고에 의하면 4억2500만명이 당뇨병을 가지고 있다. 11명의 성인 중 1명이 당뇨병인 셈인데 안타까운 것은 당뇨병 환자 2명 중 1명은 자기가 당뇨병이 있다는 사실을 모른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2018년 대한당뇨병학회에서 발표한 ‘당뇨병 팩트시트’를 보면, 30세 이상 성인 7명 중 1명(14.4%)이 당뇨병을 가지고 있다. 또한 30세 이상 성인의 4명 중 1명(25.3%)이 공복혈당장애에 해당하며, 87만명이 당뇨병의 고위험상태에 노출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국가가 건강검진을 통해 당뇨병 발견사업을 하는 대표적인 나라다. 2년마다 시행하는 국가검진에 공복혈당이 포함되어 있다. 공복혈당이 126 mg/dL 이상인 경우 2차 검진 대상이 된다. 그러나 2차 검진 역시 공복혈당을 반복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물론 연속해서 공복혈당이 126 mg/dL 이상인 경우 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다. 혈당조절장애가 진행될 때 공복혈당과 식후혈당이 동시에 상승하는 경우도 있지만, 서로 다른 이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는 지적이다. 

가이드라인에서는 공복혈당뿐 아니라 당 부하 후 혈당도 검사하도록 하는 이유다. 혈당은 또한 매일 다른 수치를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날은 혈당이 당뇨병에 해당하는 수치를 보이지만 어떤 날은 정상으로 나올 수도 있다.

이런 혈당의 변이를 반영할 수 있는 당화혈색소 검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즉, 당화혈색소 6.5% 이상인 경우는 공복혈당이 기준에 해당되지 않더라도 당뇨병이라고 할 수 있다.  

당뇨병 팩트시트를 보면, 이 차이를 극명하게 관찰할 수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혈당과 함께 당화혈색소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2016년 자료에서 공복혈당만으로 당뇨병을 추정하면 13.0%가 당뇨병이 있는 것으로 나오지만 당화혈색소 검사를 포함하면 14.4%로 증가한다. 무려 50만 명(1.4%)의 성인이 기준에 따라 당뇨병에 포함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한다.  

이에 연구진은 “당뇨병을 적극적으로 조기 발견하기 위해서는 국가검진에 당화혈색소 검사를 포함해야 한다. 적어도 1차 검진에서 공복혈당이 100 mg/dL 이상인 경우(소요예산에 문제가 있다면 110 mg/dL) 2차 검진에서 꼭 당화혈색소 검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메디컬투데이 김동주 기자(ed30109@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