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신경계 질환

젊어서 다리 꼬는 습관, 중년돼 척추관 협착증 유발한다?

pulmaemi 2018. 7. 5. 13:32

[메디컬투데이 조용진 기자] 

외국계기업 임원인 52세 김모씨는 젊어서부터 다리를 꼬거나 옆으로 비스듬히 앉는 나쁜 자세로 간간히 오는 허리통증을 느꼈지만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하지만 며칠 전부터 조금만 걸어도 찌릿한 다리 통증과 쑤시는 증상으로 병원을 찾았다가 척추관 협착증 진단을 받았다. 


척추관 협착증은 선천성, 발육성 협착증과 후천성 퇴행성의 원인으로 척추 중앙의 척추관, 신경근관 또는 추간공이 좁아져서 허리의 통증을 유발하거나 다리에 여러 복합적인 신경 증세를 일으키는 질환으로 선천적 요인, 노화, 다리 꼬는 습관 등에서 오는 잘못된 자세가 원인이 되어 주위의 인대나 뼈가 커져 신경을 압박하여 나타난다.

척추관은 척수신경이 지나가는 통로로 척추관의 중심부가 퇴행성 변화로 인해 변형되면 신경통로가 좁아져 요통과 골반통, 다리 저림 등의 통증이 나타난다. 다리가 터질 듯 아프거나 마비감이 느껴질 때, 걸을 때 다리가 아파 쉬어야 하거나, 다리가 아플 때 허리를 앞으로 숙이면 좋아지는 증상이 있을 때 척추관 협착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척추관 협착증은 50대 이상에서 주로 나타나는 대표적인 퇴행성 척추질환이다. 의자, 바닥 등에서 앉았다 일어나면 다리와 무릎, 엉덩이 전체가 너무 아파서 걸을 수가 없고 그때마다 진통제 등을 먹으면서 견디다 참다못해 병원을 찾게 되는 것이다. 

여성은 폐경 이후 여성호르몬이 급감하여 뼈와 인대 등의 조직이 약해지고 퇴행성 변화가 이 시기에 빨라지게 되며, 오랜 가사 노동으로 인해 척추 질환에 쉽게 노출된다. 따라서 수많은 척추 질환 중에서도 특히 신경이 지나가는 신경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인 척추관 협착증 발병 확률이 높아지는 것이다.

척추관 협착증 초기에는 약물이나 주사, 물리적 치료와 같은 보존적 치료가 가능하며 이에도 효과나 반응이 미미하거나 없는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수술적 치료는 좁아진 신경의 통로를 넓혀 주어 눌려 있는 신경이 다시 자유로워지도록 하는 것으로, 압박을 풀어 준다 하여 ‘감압술’이라고 한다. 

이렇게 신경을 자유롭게 해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경우가 있지만, 퇴행성 변화가 너무 심한 경우에 뼈와 인대뿐만 아니라 척추 관절을 함께 제거해야 충분한 감압이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럴 경우 척추가 불안정해질 수 있어 안정시켜주는 수술을 함께 시행하게 되는데,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척추 마디를 나사못으로 고정하고 뼈를 이식해서 한 개처럼 만들어 주는 것으로 ‘유합술’이라고 한다. 

임동주 인제대 상계백병원 척추센터 교수는 “척추관 협착증의 수술적 치료는 감압술, 또는 감압술과 유합술을 함께 시행하는 수술로 크게 나눌 수 있다”며 “유합술을 시행하면 척추가 못 움직이는 것 아닌가 걱정하는데 주변의 다른 척추마디들이 어느 정도 보상을 해주기 때문에 움직임에 큰 불편은 없고 수술을 할 때 넣었던 나사못 또한 특별히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면 빼는 수술을 굳이 할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다.

허리가 아플 때 흔히 혼동하는 척추관 협착증과 추간판 탈출증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추간판 탈출증(디스크 병)은 물렁뼈 즉 추간판에 의한 신경 압박의 증상으로 통증이나 다리 당김 등 방사통이 주로 한쪽에서 많이 나타나고 비교적 젊은 층에서 많이 발생한다. 

하지만 척추관 협착증은 뼈나 인대가 두꺼워지면서 서서히 발생하는 질환으로 활동을 하지 않으면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고, 많이 걸으면 다리가 점점 뻣뻣해지고 마비가 오는 증상이나 통증, 다리 당김 등 방사통이 양쪽에서 주로 나타나며 활동하지 않는 경우 증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50대 이후에 주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임 교수는 “척추관 협착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의자에 앉을 때 엉덩이를 최대한 끝까지 집어넣고 허리를 꼿꼿하게 세우는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며, “다리를 꼬는 습관이 있다면 5분 또는 10분마다 다리를 바꿔 주는 것이 좋고 틈틈이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 또한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메디컬투데이 조용진 기자(jyjthefake@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