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 바이러스 대표적으로 A, B, C형 존재
[메디컬투데이 지용준 기자]
‘간’은 침묵의 장기로 유명하다. 간 내부에는 신경세포가 없기 때문에 종양이 커도 특별한 자각증상이 없다. 또한 간의 70~80% 정도가 손상되더라도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간기능이 유지되기 때문에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간의 대표적인 질환은 바로 ‘간암’이다. 증상이 없어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소리없이 확산되어 매우 위험하다. 간암의 발병 원인은 다양하지만, 주범은 바로 ‘만성 바이러스 간염’이다. 간염 바이러스는 대표적으로 ‘A, B, C형’이 있다. 그 중 만성간염을 일으키는 것은 B형과 C형이다. A형은 대개 급성간염으로 지나가지만 드물게 급성간부전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경희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심재준 교수의 도움말로 대표적인 ABC 간염의 원인과 예방, 그리고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자.
A형 간염은 B형 간염이나 C형 간염에 비하여 일반인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 B형 및 C형 간염은 간경변이나 간암으로 진행될 수 있지만, A형 간염은 대개 감기처럼 앓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아 무관심한 경우가 많다. 이를 대변하듯, 최근 들어 A형 간염환자가 부쩍 늘어나고 있다.
오염된 식수, 어패류, 상한 우유 등의 섭취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대부분 위생환경이 좋지 않은 개발도상국에서 주로 발생하지만, 고온다습한 여름철에는 누구나 감염될 수 있기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번 앓고 나면 항체가 생기는 A형 간염의 특성에 비춰볼 때, 50대 이상의 중장년층은 항체 보유율이 높아 잘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일단 발병하면 젊은 연령에 비해 경과가 좋지 않으며, 회복기간도 더 긴 편이다. 어렸을 때 A형 간염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젊은 세대는 대개 항체를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단체생활이나 급식을 통해 A형 간염이 발생할 수 있다.
소화기내과 심재준 교수는 “A형 간염이 심할 경우 위장증상, 피곤감, 황달, 더 나아가 간부전으로 이어져 사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한 질환이다”며 “적극적인 예방접종과 함께 ‘감기’처럼 가볍게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A형 간염은 6개월 간격으로 2회의 예방접종만으로도 예방이 가능하며 개인위생의 기본수칙을 잘 지키는 것 또한 중요하다. 식사 전이나 화장실을 이용한 후에는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고, 동남아 지역 등 A형 간염 유행국가 여행 중에는 식수를 조심해야 한다. 아울러, 길거리에서 파는 날 음식이나 조금이라도 상한 음식, 오래된 어패류 등의 섭취는 금해야 한다.
B형 및 C형 간염을 앓고 있는 환자는 추산 200만 명! B형과 C형 간염 바이러스는 서로 전혀 다른 종류이지만 궁극적으로 임상 양상은 크게 다르지 않다. ▲혈액을 통해 전염된다는 점 ▲감염된 후에는 만성 간염, 간경변을 거쳐 간암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점 ▲초기에는 무증상이다가 피로감, 구토와 황달, 간성 혼수 등의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 등이 유사하다.
대표적인 원인은 성적인 접촉이나 수혈, 오염된 주사기의 재사용이다. 해당 간염 바이러스는 혈액 내로 침입한 후, 간 세포로 향한다. 감염된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해 우리 몸은 면역반응을 일으키는데, 이로 인해 간세포가 파괴되면서 간염이 생긴다.
이는 10~20년에 걸쳐 서서히 간경변으로 진행되는데, 연령이 증가할수록 그 속도는 더 빨라진다. 특히, 만성 C형 간염은 국내 간암의 두 번째 원인으로 전체H의 약 12%를 차지한다. 간경변으로 진행된 환자 중 연간 3~5%에서 간암이 발생하기 때문에 6개월마다 간암 감시검사인 초음파검사와 혈액검사를 병행해야 한다. 감시검사를 소홀히 한다면 치료가 불가능한 상태에서 간암이 발견될 수 있으며 진행성 간암의 경우 예후가 매우 좋지 않아 50% 이상의 환자가 1년 이내에 사망한다.
특히, C형 간염은 B형 간염과 달리 백신은 물론 면역글로불린도 없는 실정으로,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심 교수는 “C형 간염은 피부, 점막, 혈관을 통해 오염된 체액이나 혈액이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최근 개발된 경구 항바이러스제가 98% 이상의 완치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증상이 없더라도 혈액검사를 통해 간염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메디컬투데이 지용준 기자(yjun89@mdtoday.co.kr)
'간, 담도, 췌장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육량 감소증 만성 B형 간염환자, 간섬유화 위험 더 높아 (0) | 2018.07.26 |
---|---|
올 여름 A형 간염 주의… 날생선과 오염된 물 조심 (0) | 2018.06.21 |
“외부활동 잦은 봄철, A형 간염 주의하세요” (0) | 2018.05.29 |
“짙은 갈색 소변, 간 질환 의심” (0) | 2018.05.28 |
“조용하지만 치명적인 간·담도·췌장암도 고령화 시대 맞춤 치료 필수” (0) | 2018.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