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질환·감염병

결핵발생·사망률 OECD 최고 수준…“잠복결핵·다제내성 우선적으로 관리”

pulmaemi 2018. 1. 17. 15:09
노인·외국인·취약계층 대상 체계적 결핵관리 대책 마련 필요

[메디컬투데이 이한솔 기자] 

결핵 발생 및 사망률이 OECD 최고 수준인 한국이 잠복결핵, 다제내성 결핵 등 우선적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는 연구가 제시됐다.

 
보건사회연구원의 ‘보건사회연구-우리나라 결핵 실태 및 국가 결핵관리 현황’에 따르면 향후 결핵 발생과 사망을 낮추기 위해 제2기 결핵관리종합계획을 충실히 이행해 나가면서 우선순위에 따라 관련 예산 투입을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

보고서에서 질병관리본부 조경숙 에이즈결핵관리과장은 이를 위해 결핵 환자관리에 우선순위에 두고 결핵 조기 진단과 치료율 제고와 비순응 환자 관리나 다제내성 결핵환자 관리 강화, 노인·외국인·취약계층에 대한 체계적 결핵관리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결핵은 결핵균에 의한 호흡기 전파 질환으로 밀접접촉자의 약 30%가 감염되고, 감염자의 약 10%가 평생에 걸쳐 발병하게 되는 감염력이 높은 질환이다. 전 세계적으로 매년 1000만 명 이상의 결핵환자가 신규 발생하고 연간 180만 여명이 결핵으로 사망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연간 3만여명의 결핵환자가 신규로 발생하고 4만여명의 결핵 유병환자가 있다. 연간 2200여명이 결핵으로 사망하고 있다.

결핵유병률은 1990년 인구 10만 명당 223명에서 2014년 101명으로 절반 이상 감소했고, 결핵발생률은 1990년 인구 10만명당 168명에서 2015년 80명으로 절반 이상 감소했다. 하지만 여전히 OECD 회원국 중 결핵 발생과 사망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 것. 

우리나라 잠복결핵 감염률은 33% 수준이다. 이는 세계 평균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미국 4.2% 대비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국내는 한국 전쟁을 겪으면서 나쁜 영양상태 및 열악한 보건 환경 속에서 밀집된 생활을 해왔다. 이때 결핵균에 감염된 인구가 많아 국민 상당수가 잠복결핵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세대가 수십 년에 걸쳐 약 10%가 결핵환자로 이환되면서 높은 결핵 발생률을 보이는 것.

국내에서는 WHO가 체계적 잠복결핵감염 진단과 치료를 시행하도록 강하게 권고하고 있는 HIV감염인·접촉자 등 9개 범주에 해당하는 자에 대해 잠복결핵 감염 검사가 요양급여로 인정되고 있다.  

더불어 지난 2016년 결핵예방법을 개정해 결핵 발생 시 집단 내 결핵 감염 취약계층인 신생아·어린이·환자·학생 등에게 전파의 위험이 있는 집단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지난해부터 결핵안심국가라는 사업으로 잠복결핵감염 검진 및 치료를 국가 재정에서 지원하고 있다. 

국내 리팜핀 및 다제내성 결핵환자는 신환자 기준 3.4% 수준이고 이는 OECD 가입국 평균 2.6%보다 높고 재치료자 기준 11%로 OECD 평균 12%보다 다소 낮은 편이다. 

이에 일차적으로 초회내성을 예방하기 위해 다제내성결핵 환자의 신속한 진단과 치료를 통한 추가감염 예방이 필요하고, 획득내성을 예방하기 위해 표준치료를 적절히 해 단일 약제치료, 불규칙 투약, 부적절 용량 등이 이뤄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 외국인 비율이 2011년 4.5%에서 2016년 20.5%로 증가해 외국인에 대한 결핵관리 등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조경숙 과장은 “이밖에도 장기적 측면에서 신속 정확한 진단법 및 치료 성공률이 높은 신약 개발이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간 미진했던 노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결핵 조기발견과 체계적 치료 방안도 모색될 필요가 있다”며 “취약계층 결핵치료에 대해서는 지역사회 중심의 보건복지통합 환자관리 모형을 개발·도입하고 결핵안심벨트사업 확대 및 국공립 병원의 역할 강화 등도 요구된다”고 밝혔다.    
메디컬투데이 이한솔 기자(lhs7830@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