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
치매의 예방과 치료, 관리가 국가적 핵심 과제로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치매의 조기 발견과 진행 예측에 대한 타우 PET의 임상 유효성을 입증한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가천대 길병원 신경과 노영 교수팀은 알츠하이머 치매(AD) 환자 51명,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 30명, 정상 환자 43명(NC)의 타우 PET(THK5351 PET) 과 포도당 PET(FDG PET), 3.0T MRI, 신경심리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한 연구에서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14일 밝혔다.
분석 결과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는 측두엽, 두정엽, 쐐기앞소엽, 전두엽 등 거의 모든 연합 피질 부위에서 정상 환자보다 높은 타우 단백 침착을 보였으며, 경도인지장애 환자에서는 주로 측두엽, 하부 두정엽 등의 영역에서 정상군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타우 단백 침착을 보였다.
또한 타우 단백의 침착은 인지 기능과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보여 병의 증상 및 진행 정도를 예민하게 반영하는 것을 확인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현재까지 기능적 영상으로 가장 예민하다고 알려져 있는 포도당 PET(FDG PET)과의 비교 분석에서 연구진은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군에서는 타우 단백이 축적된 부위에서는 포도당 대사 저하, 즉 시냅스 소실이 일어나 두 PET 이미지가 마치 거울로 비춰놓은 것처럼 반비례함을 확인했다.
특히 주목할 것은 경도인지장애에서는 포도당 대사 저하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타우 단백은 축적된 것을 확인했다. 이는 타우 PET이 경도인지장애 환자를 조기 진단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것이다.
▲노영 교수 (사진=길병원 제공) |
노 교수는 “타우 PET 이 향후 알츠하이머형 인지장애의 조기 진단을 위한 영상 바이오 마커로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특히 타우 단백의 양 및 축적 위치가 임상적인 증상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함에 따라 향후 근치적 치료 약물이 개발될 시, 타우 PET이 치료 약물의 타겟 환자 선별, 치료제의 효능 평가에 쓰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연구중심병원 육성 R&D 사업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 국제적 전문 학술지인 ‘노화 신경생물학’ 2017년도 9월호에 실렸다.
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ralph0407@mdtoday.co.kr)
'소화기계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증성 장질환 환자 93% 학업 등 일상생활 지장…소득도 감소 (0) | 2017.09.25 |
---|---|
며칠째 계속되는 딸꾹질, 대수롭게 넘기지 마세요 (0) | 2017.09.18 |
역류성 식도염, 방치했다간 식도암 유발 (0) | 2017.09.14 |
위궤양 환자 수는 감소했지만, 40대 이후에선 급격히 늘어 (0) | 2017.09.04 |
한해 65만명 변비로 ‘끙끙’…올바른 치료법은? (0) | 2017.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