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
우리나라에서 비만은 2009년 29.7%에서 2015년에는 32.4%로 증가했으며, 복부비만은 18.4%에서 20.8%로 증가 추세에 있다. 비만과 복부비만은 20대, 30대, 40대에서 특히 큰폭의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남성에서는 비만 유병률이 증가했지만, 여성에서는 비만과 복부비만의 유병률이 감소하는 경향이다. 특히 젊은 남성(19-39세) 1인가구에서 비만 및 복부비만위험이 다인가구에 비해 증가하고 있다.
제2형 당뇨병, 고혈압 및 이상지질혈증의 발생률은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했고, 이는 체질량지수가 35kg/m2 이상인 경우에도 동일한 증가세를 보였다.
체질량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폐경 여성에서 유방암 발병 위험은 증가하고 있으며, 여성에서의 체질량지수 증가는 고위험 임신과 같은 합병증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다.
우리나라는 향후 국내 비만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학회로서의 활동을 지속하고 나아가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비만 문제 극복을 위한 국제적 자문기관으로 도약할 것을 발표했다.
2008년 일본 정부는 비만 등 생활질환 등과 관련한 새로운 질병 예방 정책을 시작했다.
이에 따라 대사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연간 검사와 상담을 포함한 생활 개선 프로그램이 마련됐으며 이를 통해 대사증후군 환자를 25% 줄이고자 했다.
이러한 정책을 통해 대사증후군과 심혈관질환 등의 위험이 실제로 줄었으며, 이는 질병의 예방과 의료비 절감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 뉴질랜드는 성인 3명 중 2명, 어린이 3명 중 한 명이 과체중이거나 비만이다. 뉴질랜드의 비만은 전 연령대에서 증가 추세에 있으며 빈부 격차, 열악한 주거환경과 건강관리, 이로 인한 영양 부족 및 건강 악화 등과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다.
뉴질랜드의 4명 중 한 명은 상대적 빈곤층이며, 빈곤계층에서 건강하지 않는 생활습관 나쁜 식사가 문제시 되고 있다.
이에 따라 2015년 10월에는 22개의 아동비만계획이 도입, 치료 및 지원 강화를 포함한 대국민 프로그램인 ‘Healthy Families New Zealand’를 진행하고 있다.
뉴질랜드는 올해 9월 23일 총선거 이후 분석을 통해 경제, 주택, 보건 등을 주요 현안으로 선정했으며 비만의 주요한 원인으로도 지목되고 있는 빈부 격차해소에 정책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호주는 2007년 서울선언 이후 비만예방과 관리를 위한 범국가적 협력을 위한 합의를 위해 노력해 오고 있다. 그 결과 비만은 질병이라는 인식은 확산 추세에 있지만 보편적인 인식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국가 차원에서 임산부와 어린이의 비만과 건강에 집중할 것을 제안했으며 어린이들 대상의 정크푸드 광고금지, 음료에 대한 설탕 관련 세금 부과 등의 규제정책 마련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는 지난달 31일 콘래드서울호텔에서 열린 제 3회 국제학술대회ICOMES (International Congress on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및 제 47차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내용이다.
서울 선언(Seoul Declaration)은 지난 2007년 서울에서 열린 ‘제4회아시아-오세아니아비만학술대회(AOCO)’ 기간 중 현장에 모인 10개국의 비만 관련 전문가들이 비만으로 인해 당면한 공동 문제를 함께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의지와 목표를 다지며, 즉각적인 노력과 실천을 결의했던 의미있는 선언이다.
이번 10주년 기념식에서는 지난 2007년 서울선언 이후 각국의 비만과 관련한 노력과 프로그램, 정책 등에 대한 소개와 함께 이로 인한 긍정적인 변화와 의미, 향후 방향과 목표 등이 발표됐다.
대한비만학회 유순집 이사장은 “지난 10년간 학회를중 심으로 수많은 단체와 기관의 적극적인 노력과 참여로 우리사회의 비만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이 높아졌다”며, “하지만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경제적 발전과 함께 여전히 증가 추세에 있는 질병인 비만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국가 차원의 공동인식 확대와 제도 마련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ralph0407@mdtoday.co.kr)
'아동·청소년·청년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아이, 이 증상 나타난다면 ‘성조숙증 의심’ (0) | 2017.09.06 |
---|---|
이어폰 사용 많은 20~30대, ‘외이도염’ 노출 (0) | 2017.09.06 |
아동기 학대 경험, 성인 'ADHD' 발병률 높인다 (0) | 2017.09.06 |
내 나이 30세인데 고혈압이라고?…"설마" (0) | 2017.08.29 |
30대 미혼 남성의 우울증 유병률…동 연령대 기혼 남성의 5배 (0) | 2017.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