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질환·감염병

신종감염병과 유사 파급력 지닌 항생제 사용량 20% 낮춘다

pulmaemi 2016. 8. 12. 13:36

2020년까지 감기 항생제 처방률 50% ↓


[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

신종감염병과 유사한 파급력을 지닌 항생제 내성균의 유행은 인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항생제 내성에 신속히 대처하지 못할 경우 2050년에는 전 세계 연간 1000만 명이 죽음에 이를 것이라는 예측도 곳곳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국민의 항생제 사용량은 OECD 12개국 평균(23.7DDD)치를 웃도는 31.7DDD에 달한다. 터키(41.1DDD) 다음으로 높다. 하루 동안 1000명 중 31.7명이 항생제를 처방받고 있다는 얘기다.

감기를 포함한 급성상기도감염의 항생제 처방률은 2002년 73.3%에서 지난해 기준 44%로 감소 추세이나 최근 4년간 44~45%로 정체되고 있다.

이렇다 보니 항생제 내성률도 높은 편이다.

실제로 인체의 장알균(E.faecium) 반코마이신 내성률은 우리나라가 36.5%로 영국(21.3%), 독일(9.1%), 프랑스(0.5%) 등 선진국에 비해 압도적인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정부는 범세계적인 위협으로 급부상한 항생제 내성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2016~2020)’을 확정짓고 이를 알렸다.

정부는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에 주목했다.

현재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에 따라 외래관리료(진찰료=기본진료비+외래관리료)의 1%를 가·감산하고 있으나, 단계적으로 3%(2019)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수술의 예방적 항생제 평가대상 수술을 늘리고, 우선순위를 검토해 내년에는 2개 수술이 추가될 예정이다.

항생제 처방 빈도가 높은 소아 및 성인의 상·하기도 질환에 대한 지침을 우선적으로 개발하고, 앱(App)을 만들어 처방전달시스템(OCS)과 연동해 지침에 근거한 항생제 처방을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는 아울러 이미 발생한 내성균의 확산도 막고자 나선다.

의료기관 내 내성균 확산 방지를 위해 신·증축 시 4인실 중심으로 다인실을 개편하고, 격리병실 설치 의무 등과 같은 시설기준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WHO가 구축 중인 국제 항생제 내성 감시체계(GLASS) 가입을 통해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항생제 내성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을 개정해 중장기 계획 수립 및 시행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감염병관리위원회 산하에 ‘항생제 내성 전문위원회’를 추가 설치한다.

인간-동물-환경 분야 내성균의 내성획득원리 및 전파경로를 분석하고, 신속진단법, 내성 확진법, 신규 항생제, 백신 개발 등에 투자도 한층 강화키로 했다.

정부는 2020년까지 인체에 대한 항생제 사용량을 20% 낮추고 감기 등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을 절반으로 줄이겠다는 목표다. 호흡기계 질환 항생제 처방률과 황색포도알균의 메티실린 내성률도 각각 20% 감소한다는 전략도 세웠다.

복지부 관계자는 “학·협회, 시민단체, 언론, 정부 등이 참여하는 ‘항생제 바로쓰기 운동본부’를 출범해 범국가적 캠페인을 전개하는 등 항생제에 대한 인식 수준을 높이고자 한다”고 말했다.
 
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ralph0407@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