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진단·치료 중요…어학학습 등 인지적 수행 활동 도움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우리나라는 최근 노인 인구의 증가와 함께 노인성 질환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 중 하나인 치매는 전체 노인인구 10명 중 1명이 앓고 있다.
지난해 약 65만여명으로 추산되던 치매 환자 수는 2024년에는 100만여명, 2041년에는 200만여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정현강 교수의 도움말로 치매의 예방·치료법에 대해 알아본다.
치매는 인지기능 저하로 인해 일상생활능력의 장애가 초래되는 병으로 퇴행성 뇌질환, 뇌혈관 질환, 대사성 장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은 알츠하이머병으로 전체 치매 환자의 약 60~70%를 차지할 정도로 흔하며, 처음에는 최근 대화 내용이나 복약 여부를 잊어버리는 것과 같은 기억력 저하를 호소하는 것을 시작으로 점차 진행하는 양상을 보인다.
질환이 진행함에 따라 시공간 능력, 집행능력, 판단능력, 언어 능력과 같은 다른 인지기능의 손상이 동반돼 방향감각을 잃고 길을 헤매거나 복잡한 절차의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초기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들의 기억력 장애는 주변 사람들에게 단순한 노화성 건망증으로 오해되기도 한다.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들은 잊고 있는 사건에 대해 힌트를 줘도 잘 기억해 내지 못하지만, 노화성 건망증을 보이는 노인들에서는 힌트를 주면 잘 기억해내는 차이점을 보인다.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들의 기억 상실은 최근 일에 대한 기억부터 시작되며, 병이 진행하면 점차 오래 전 일까지 기억하기 힘들어 하게 되고 말기 치매에 이르면 자기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한 기억까지 손상될 수 있다.
알츠하이머 치매는 지속적으로 진행해 결국에는 스스로 옷을 입거나 수저를 이용해 식사를 하는 것과 같은 기본적인 일상생활을 영위함에 있어서도 가족이나 보호자의 도움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로 인해 환자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의 물리적, 심리적,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게 된다. 따라서 초기에 진단해 질병의 경과를 최대한 늦출 수 있도록 빨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치매 증상은 대부분 노년기에 나타나지만 병을 일으키는 병변 단백의 뇌 침착은 증상 발현 훨씬 이전인 중년기에 시작된다. 아밀로이드 뇌영상 검사와 같은 진단 검사를 이용하면 이러한 병리 유무를 확인해 초기 진단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일부 환자에서는 초기 증상으로 우울, 불안과 같은 기분 변화나 과민함, 충동조절장애와 같은 행동·성격 변화를 보일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우울증이나 다른 정신질환과의 감별이 필요하므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에게 정확한 진단적 평가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정현강 교수는 “인지기능을 담당하는 뇌는 자주 쓰면 쓸수록 뇌의 예비 능력이 커져 퇴행성 뇌질환에 의한 신경 손상이 시작되더라도 얼마만큼은 이를 보완해 인지장애를 보이지 않을 수 있다”며 “뇌를 자극할 수 있는 인지적 수행 활동인 어학이나 한자 학습과 같은 공부, 악기 연주, 바둑, 보드 게임 등이 뇌 예비 능력을 증진시켜 치매 발생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어 “비타민과 오메가 지방산이 풍부한 녹황색 채소, 등 푸른 생선, 견과류, 과일 등의 섭취를 늘리는 식습관 변화와 규칙적인 운동 그리고 고지혈증, 당뇨, 고혈압 등의 공존 질환을 잘 관리하고 술, 담배를 멀리하는 것도 궁극적으로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뇌·심혈관계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콜레스테롤 수치 높은 男, 골다공증 위험 2배 (0) | 2016.06.13 |
---|---|
중년기 건강 잘 유지하면 향후 뇌졸중 위험 37% 낮추어 (0) | 2016.06.13 |
건강한 젊은 사람도 근육 양 적으면 심혈관질환 위험 高 (0) | 2016.06.08 |
'줄기세포 이식' 뇌졸중 환자 다시 걷게 만들다 (0) | 2016.06.07 |
'치매' 예방할 수 있는 효소 규명 (0) | 2016.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