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년 간격으로 대장내시경 검진 받아야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대장내시경을 통해 발견하는 용종(폴립)은 대장 점막의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자라 주위 점막 표면보다
돌출된 부위를 말한다.
용종은 대장 외에도 다른 소화 장기·점막이 있는 모든 기관에서 생길 수 있다. 대장에서도 흔하게 관찰된다.
대장용종은 어느 연령에서도 발생될 수 있지만, 40세 이후에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 빈도가 높아진다.
강동경희대병원 소화기내과
윤진영 교수의 도움말로 대장암으로 발전할 수 있는 용종의 예방·치료법에 대해 알아본다.
대장용종은 조직의 소견에 따라 선종, 과형성
용종, 염증성 용종 등의 종류가 있다. 이중 선종이 대장암으로 발전한다.
대장용종의 원인은 아직까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체질, 유전, 식생활 습관 등의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용종의 발생과 성장이 촉진돼 암으로 발전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먼저, 용종 진단을 위한 가장 정확한 검사는 대장내시경이다. 용종이 발견되면 바로 조직 검사·제거가 가능하다.
또 시술 전 자신이 복용중인 약제에 대해 의료진에게 알려야 한다. 특히
아스피린 등의 항응고제나 항혈소판 제제 등을 복용 중인 경우에는 약을 처방해주는 담당 의료진과 상의하여 시술 3~5일 전에 약제를 중단해야
한다.
대장용종을 제거하는 방법은 크기에 따라 다르다. 5mm 미만의 작은 용종들은 작은 기구를 통해서 뜯어내거나 전기장치를 이용해
태워서 제거할 수 있다. 5mm 이상의 용종은 대장내시경 중 올가미처럼 생긴 철사를 넣어 잘라낸다.
제거된 용종들은 조직검사를
통해 용종의 구체적인 종류를 판정하고, 대장암으로 발전 가능성 위험도·이후 대장내시경 검사의 기간을 결정하는 근거가 된다. 위험도가 낮고 용종이
완전히 제거되었다면 3~5년 후 검사를 권한다.
다만 용종의 완전 제거 여부가 불확실하거나 여러 개의 용종이 있었던 경우, 크기가
1cm 이상인 경우는 보다 짧은 기간 안에 검사를 받아야 한다. 만약 제거된 용종의 조직검사에서 암세포가 발견되면 추가적인 검사나 수술 등의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특별한 증상이 없더라도 50세가 되면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아야 한다. 분변잠혈검사는 1~2년 간격,
대장내시경 검사는 3~5년 간격으로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대장암을 예방할 수 있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
'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흡연, 당뇨, 비만 ‘췌장암’ 발생 위험도 높인다 (0) | 2016.02.28 |
---|---|
말기 암환자, 1회 5000원~1만3000원으로 가정 호스피스 받는다 (0) | 2016.02.16 |
'CT 검사·X선 검사' 암 유발 위험 없다 (0) | 2016.02.10 |
암환자 행복 위해 치료 넘어 ‘사회적 지지서비스’ 중요 (0) | 2016.02.04 |
갑상선암 환자, 골밀도 검사만으로 골강도 측정 부족 (0) | 2016.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