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계 화학물질 제조·사용량은 증가 추세, 자발적 배출저감 프로그램 영향
▲연도별 화학물질 배출량 추이 (자료=환경부 제공)
[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
산업계 화학물질 제조·사용량은 증가 추세에 있지만. 1급 발암물질 배출량은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는 30일 전국의 화학물질(415종)을 취급하는 사업장 3435개소를 대상으로 2013년도 화학물질 배출량을 조사한 결과, 2004년 이후 지속적인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환경부에 따르면, 2013년 한해동안 228종의 화학물질 1억6115만7000톤이 취급되었으며 이 가운데 215종 5만767톤(취급량의 0.0315%)이 환경으로 배출됐다.
이는 2012년 배출량(5만1121톤)에 비해 0.7% 감소(354톤 감소)한 것으로, 전년보다 취급량이 1.9%(1억5814만5000톤→1억6115만7000톤)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취급량 대비 배출량(배출율)은 2012년 0.0323%에서 2013년 0.0315%로 오히려 감소한 것이다.
특히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기관(IARC)에서 분류한 1군 발암물질 11종의 배출량은 전체 배출량의 0.7%인 348톤으로 전년도 대비 9.2% 감소(383톤→348톤)하였으며, 취급량 대비 배출량(배출율)도 꾸준히 감소했다.
이 같은 추세는 그 동안 환경부가 화학물질의 환경배출을 줄이기 위해 산업계와 함께 화학물질 배출저감 자발적 협약 등의 다양한 활동을 전개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13년 배출량 조사결과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화학물질별로는 용매제 또는 희석제로 주로 사용하는 자일렌(32.3%), 톨루엔(13.9%), 아세트산에틸(7.2%)이 상위 3개 물질로 분석됐다.
상위 10개 화학물질 중 톨루엔, 아세트산에틸 등 6종은 전년 대비 배출량이 증가했으며(톨루엔의 경우 7.8% 증가), 디클로로메탄, 자일렌 등 4종은 전년 대비 배출량이 감소(디클로로메탄의 경우 24.0%↓)했다.
업종별로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에서 33.3%, 고무·플라스틱 제조업이 11.7%,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9.2% 등의 순으로 배출됐으며, 상위 10개 업종은 전년과 동일하나 배출량은 87.4%에서 88.9%로 증가하였다.
특히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은 전 산업에서 차지는 비중이 낮음(업체수는 전체의 1.8%, 취급량은 전체의 0.05%)에도 불구하고 전체 배출량의 33.3%를 차지했는데, 이는 코팅·열처리 공정에서 분사(spray) 및 자연·열처리건조(방지시설 미설치) 방식의 작업형태로 인해 배출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 및 코크스·석유정제업 등의 배출량은 각각 전체 배출량의 9.2%와 1.5%를 차지하지만, 배출율은 평균(0.0315%)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취급 관리와 기술수준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별 배출량이 높은 상위 3개 지역은 전년과 같이 경기, 경남, 울산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사업장 수가 상대적으로 많고(801개→877개소, 총 사업장의 25.5%), 경남도는 배출율이 높은 강선건조업체가 많으며, 울산은 대규모 산업단지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전년과 달리 경남지역은 배출량이 감소한데 비해 경기도는 배출량이 증가해 전체배출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경기 19.1%, 경남 17.0%, 울산 16.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측은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국민의 알권리 보장 및 기업의 자발적인 화학물질 배출저감 유도를 위해 2008년부터 공개사업장의 범위를 꾸준히 확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의 화학물질 안전관리와 배출저감 노력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ralph0407@mdtoday.co.kr)
환경부는 30일 전국의 화학물질(415종)을 취급하는 사업장 3435개소를 대상으로 2013년도 화학물질 배출량을 조사한 결과, 2004년 이후 지속적인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환경부에 따르면, 2013년 한해동안 228종의 화학물질 1억6115만7000톤이 취급되었으며 이 가운데 215종 5만767톤(취급량의 0.0315%)이 환경으로 배출됐다.
이는 2012년 배출량(5만1121톤)에 비해 0.7% 감소(354톤 감소)한 것으로, 전년보다 취급량이 1.9%(1억5814만5000톤→1억6115만7000톤)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취급량 대비 배출량(배출율)은 2012년 0.0323%에서 2013년 0.0315%로 오히려 감소한 것이다.
특히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기관(IARC)에서 분류한 1군 발암물질 11종의 배출량은 전체 배출량의 0.7%인 348톤으로 전년도 대비 9.2% 감소(383톤→348톤)하였으며, 취급량 대비 배출량(배출율)도 꾸준히 감소했다.
이 같은 추세는 그 동안 환경부가 화학물질의 환경배출을 줄이기 위해 산업계와 함께 화학물질 배출저감 자발적 협약 등의 다양한 활동을 전개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13년 배출량 조사결과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화학물질별로는 용매제 또는 희석제로 주로 사용하는 자일렌(32.3%), 톨루엔(13.9%), 아세트산에틸(7.2%)이 상위 3개 물질로 분석됐다.
상위 10개 화학물질 중 톨루엔, 아세트산에틸 등 6종은 전년 대비 배출량이 증가했으며(톨루엔의 경우 7.8% 증가), 디클로로메탄, 자일렌 등 4종은 전년 대비 배출량이 감소(디클로로메탄의 경우 24.0%↓)했다.
업종별로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에서 33.3%, 고무·플라스틱 제조업이 11.7%,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9.2% 등의 순으로 배출됐으며, 상위 10개 업종은 전년과 동일하나 배출량은 87.4%에서 88.9%로 증가하였다.
특히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은 전 산업에서 차지는 비중이 낮음(업체수는 전체의 1.8%, 취급량은 전체의 0.05%)에도 불구하고 전체 배출량의 33.3%를 차지했는데, 이는 코팅·열처리 공정에서 분사(spray) 및 자연·열처리건조(방지시설 미설치) 방식의 작업형태로 인해 배출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 및 코크스·석유정제업 등의 배출량은 각각 전체 배출량의 9.2%와 1.5%를 차지하지만, 배출율은 평균(0.0315%)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취급 관리와 기술수준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별 배출량이 높은 상위 3개 지역은 전년과 같이 경기, 경남, 울산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사업장 수가 상대적으로 많고(801개→877개소, 총 사업장의 25.5%), 경남도는 배출율이 높은 강선건조업체가 많으며, 울산은 대규모 산업단지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전년과 달리 경남지역은 배출량이 감소한데 비해 경기도는 배출량이 증가해 전체배출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경기 19.1%, 경남 17.0%, 울산 16.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측은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국민의 알권리 보장 및 기업의 자발적인 화학물질 배출저감 유도를 위해 2008년부터 공개사업장의 범위를 꾸준히 확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의 화학물질 안전관리와 배출저감 노력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ralph0407@mdtoday.co.kr)
'직업·환경성질환,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식 용기 속 플라스틱 혈압 높이고 인슐린 내성 유발 (0) | 2015.07.10 |
---|---|
방사선 저용량이라도 지속 노출되면 '백혈병' 사망 위험 높아 (0) | 2015.07.10 |
자동차 소음 심한 지역 사는 사람들 '오래 못 산다' (0) | 2015.06.29 |
텐트 안 일산화탄소 중독사고, 5월에 집중 발생 (0) | 2015.05.28 |
교대근무하는 사람들 수면장애 더 흔해 (0) | 201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