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절기 꽃가루 알레르기 나타나면 과일 먹을 때도 주의해야 전유훈 교수팀, 아토피․자작나무알레르기 있는 아이 44% 구강알레르기증후군도 앓아 [메디컬투데이 박정은 기자] 추운 겨울이 가고 봄이 오고 있지만 봄이 마냥 반갑지만은 않은 이들이 있다. 바로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들이다. 아침․저녁으로 기온차가 심한 환절기가 되면 가뜩이나.. 면역질환·감염병 2019.04.09
화분증 있다면 복숭아·사과 등 과일 먹을 때 '주의' 화분증 환자 10명 중 4명 꽃가루-식품 알레르기증후군 경험 [메디컬투데이 조용진 기자] 화분증이 있는 사람은 복숭아ㆍ사과ㆍ키위 등을 먹을 때 과일ㆍ채소 등 식물성 식품과 꽃가루 항원이 교차반응을 일으켜 발생하는 이른바 꽃가루-식품 알레르기증후군이 동반될 수 있기 때문에 .. 먹거리와 건강 2018.11.29
삼나무 꽃가루, 알레르기성 질환 유발…봄철 주의 3~4월 삼나무 꽃가루 발생 증가 [메디컬투데이 황영주 기자] 봄철 삼나무 꽃가루로 인한 알레르기 질환에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3일 제주대학교 환경보건센터연구팀에 따르면 제주시 보건소와 서귀포시 보건소에 설치한 꽃가루 채집기를 통해 분석한 결과 올해 삼나무 꽃가루.. 직업·환경성질환, 안전 2018.03.13
비염·천식 등 환경성질환자, 4년새 5.7% 증가 8~10월 비염 환자 급증 [메디컬투데이 박종헌 기자] 알레르기성 비염과 천식 등 환경성 질환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급격히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민건강보험공단 등에 따르면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아토피피부염 등 주요 환경성 질환자는 지난 2012년 800만6000명에서 2016.. 직업·환경성질환, 안전 2017.10.11
가을철 벌꽃가루 잘못 먹으면 갑자기 ‘쇼크’ 올수도 10명 중 0.5~1명 가을철 꽃가루 알레르기 보유…꽃가루 원료인 화분 섭취 주의해야 [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 #매년 9월이면 심한 비염 증상을 겪던 이모(남․40)씨는 최근 흔히 벌꽃가루로 불리는 화분(花粉)을 한 수저 먹은 뒤 얼굴이 붓고 전신에 두드러기가 나타났다. 또 혈압이 .. 눈·코·귀·피부 2017.09.12
봄의 불청객 꽃가루…4월 중순부터 5월 초순 사이 농도 최고 오전 9시 경 꽃가루 수 증가해 정오시간대 꽃가루 수 최대 기록 [메디컬투데이 최성수 기자] 봄철 대표적 알레르기 원인물질인 꽃가루는 4월 중순부터 5월 초순까지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특히 정오 시간대에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은 부산시민공원에서 2016.. 직업·환경성질환, 안전 2017.04.04
‘알레르기질환 주범’ 삼나무 꽃가루 주의 “마스크 꼭 착용하세요” 제주지역 소아청소년 알레르기 피부반응…15년 새 2.5배 ↑ [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 감귤나무 방풍림으로 식재돼 있는 삼나무 꽃가루가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비염, 천식, 알레르기성 결막염 등 알레르기질환을 일으키는 주요원인으로 지목된다.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환경.. 면역질환·감염병 2017.03.07
임신말기 꽃가루 노출 아이 '천식' 위험 높여 [메디컬투데이 김소희 기자] 임신 말기 고농도의 꽃가루에 노출된 여성들에게서 태어난 아이들이 조기 천식이 발병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진행된 많은 연구결과 꽃가루가 날리는 계절 동안 태어난 아이들이 알레르기 발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바 있는 바 9일 스.. 여성·유아 건강 2013.01.10
출생월별 천명 위험 다르다 알레르겐 일찍 노출되면 더 위험 【런던】 태어난지 몇 개월 안돼 고농도 진균류 포자 또는 꽃가루에 노출되면 천명 발병 위험이 증가한다고 UC버클리(캘리포니아대학 버클리교) 보건대학원 킴 할리(Kim Harley) 박사팀이 Thorax에 발표했다. 이전 연구에서 소아의 천식 위험은 태어난 달에 따라 변화하는 .. 면역질환·감염병 2009.07.15
온난화, 천식 환자의 새로운 적 꽃가루 알레르기 더 오래 기승 … 황사도 심해져 환자 5년 새 36만 명 늘어 기후 변화 때문에 천식 환자가 급증하지만 치료가 제대로 안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국내 천식 환자는 2002년 203만 명에서 2007년 239만 명으로 증가했다. 이날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 직업·환경성질환, 안전 2009.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