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신·무허가 영양주사, 간 건강을 위협한다 6개월 이상 지속되는 만성 B·C형 간염, 간암 발병률 ↑ [메디컬투데이 이경호 기자] 지구상에 존재하는 수천 가지의 바이러스 중에 간염 바이러스는 5가지다. 알파벳 A부터 E까지 순서대로 이름이 지어졌는데 이 중 A, B, C형은 우리나라 간염 바이러스의 99%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식중독.. 간, 담도, 췌장질환 2019.07.29
간과하기 쉬운 식중독 감염 경로, 어디? 조리도구 사용 시 교차오염 위험 존재 [메디컬투데이 박정은 기자]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조금만 방심해도 쉽게 감염될 수 있는 것이 바로 식중독이다. 계절을 막론하고 나타난다지만, 여름하면 대표적으로 떠오르는 감염 질환이기도 하다.일상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식중독은 상한 음.. 면역질환·감염병 2019.07.26
"사람 간 전파 가능한 노로바이러스 주의하세요" 매년 평균 50건 발생…11월부터 집중 발생▲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예방법 (사진=식약처 제공) [메디컬투데이 김동주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겨울철에도 노로바이러스 감염으로 추정되는 식중독 의심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므로 올바른 손씻기 등 개인위생 수칙을 철저히 지켜줄 .. 면역질환·감염병 2018.11.06
대표적 간암 유발 원인 '간염', 예방이 가장 중요 혈액ㆍ초음파 검사로 손쉽게 예방 가능 [메디컬투데이 조용진 기자] 매년 7월 28일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세계 간염의 날'이다. 간염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는 총 5가지다. 알파벳 A부터 E까지 순서대로 이름이 지어졌고 이 중 A, B, C형 간염 바이러스가 국내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 간, 담도, 췌장질환 2018.07.31
부산서 SFTS로 사망한 환자 반려견서 SFTS 바이러스 검출 부산시 "강아지 체액 통한 직접전파 가능성 배제할 수 없다" [메디컬투데이 임우진 기자] 지난 5일 사망한 SFTS 환자의 감염원이 환자의 반려견인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시는 지난 5일 새벽에 사망한 SFTS 환자의 반려견 2마리를 검사한 결과, 1마리에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이하 SFTS) 항.. 면역질환·감염병 2018.07.13
국내 HIV 감염, 주된 감염 경로는 동성·양성 간 성접촉 연령 젊어질수록 동성 및 양성 간 성접촉 증가 [메디컬투데이 지용준 기자] 국내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의 주요 감염 경로가 동성 및 양성 간 성접촉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세브란스병원은 감염내과 김준명 교수 연구팀이 국내 HIV 감염의 감염 경로 분석 결과를 13일 메이.. 면역질환·감염병 2018.04.16
“C형 간염치료제 리바비린, 임신 중 복용하면 기형아 위험” 약물 복용 후 6개월까지 피임해야 [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 지난해 환자수만 36만명에 이르는 B형 간염.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간염으로 꼽힌다. 간염은 바이러스, 알코올, 약물과 자가면역 등에 의해 발생되며, 이 가운데 바이러스성 간염은 바이러스 종류에 따라 A, B, C.. 여성·유아 건강 2017.08.09
[계절별 건강상식] 으슬으슬한 몸살기운…단순 감기일까? A형 간염, 오염된 음식물이나 식수 등 통해 전염돼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 연일 계속되는 야근으로 지쳐있는 이모(여·27)씨는 갑자기 으슬으슬 추운 몸살증세를 느꼈다. 단순 몸살감기라고 생각한 이씨는 근처 약국에서 몸살감기약을 지어 먹었다. 하지만 며칠이 지나도 몸살증.. 간, 담도, 췌장질환 2014.08.06
A형간염, 주로 20~30대에서 발생 질병관리본부, 손 씻기 등 예방 수칙 준수 당부 [메디컬투데이 김선욱 기자] 수인성감염병인 A형간염이 주로 20~30대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는 수인성감염병인 A형간염(제1군감염병)에 대한 전수감시 결과 23일 현재 발생 건수가 총 872건으로 전년 동기간 4287.. 간, 담도, 췌장질환 2012.07.27
'열나는 병' 유행성출혈열 주의보 늦가을 주로 발생...조기치료 안하면 치명적 전문가, 야외활동자 백신 접종 필요 조언 최근 신종플루 확산으로 모든 국민들이 열(熱)에 예민해져 있는 가운데 '열나는 병'인 유행성출혈열 경계령이 내렸다. 유행성출혈열(신증후출혈열)이 늦가을(10~12월)과 늦봄(5~6월) 건조기에 주로 발생하는데 지금이 .. 면역질환·감염병 2009.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