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불평등 해소 위해 정확한 상황 파악하고 정책 목표 세워야"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전국에서 남성 암 사망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경기도 과천시, 가장 높은 지역은 경상남도 남해군인 것으로 파악됐다. 여성의 경우 암 사망률이 가장 낮은 구는 서울특별시 중구, 가장 높은 지역은 전라남도 장흥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한국의 건강불평등 지표와 정책과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건강불평등에 따른 질병으로 인한 사망률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상관관계가 나왔다.
보고서에 따르면 연령표준화 암 사망률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2003년 이후 꾸준히 감소했다. 2012년 남성의 표준화 사망률은 십만 명당 164.3명, 여성은 71.1명이었다.
지역별 격차의 경우 2010-2012년 전국 시군구별 남성 암 사망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경기도 과천시로 십만 명당 124.8명이었고 가장 높은 지역은 경상남도 남해군으로 246.0명이었다. 이는 전국 평균에 비해 1.39배 더 사망하고 십만 명당 69.3명이 더 사망하는 셈이다.
여성 암 사망률이 가장 낮은 구는 서울특별시 중구로 십만 명당 58.0명이었고 가장 높은 지역은 전라남도 장흥군으로 107.8명이었다. 이는 전국 평균에 비해 1.42배, 십만 명당 32.1명이 추가로 사망하는 수치이다.
30-64세 남성에서 초졸 이하 집단은 전문대졸 이상 집단에 비해 사망 위험이 2.88배, 십만 명당 153.4명만큼 높았다.
여성에서는 초졸 이하 집단이 전문대졸 이상에 비해 사망 위험이 1.98배 높았다. 65세 이상에서 초졸 이하 집단은 고졸 이상 집단에 비해 사망 위험이 1.11배 높았다.
30-64세 남성에서 육체직은 사무직에 비해 사망 위험이 2.11배 높았고 서비스·판매집은 2.51배 높았다. 여성에서는 육체직의 사망 위험이 사무직에 비해 3.95배 높았다.
보건사회연구원 김동진 부연구위원은 "점차 심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건강불평등 해소를 위해서는 먼저 우리 사회의 건강불평등에 대한 정확한 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한 정책 목표를 세우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건강불평등 관리 위원회' 같은 조직을 둠으로서 건강불평등 지표를 관리하고 모니터링하며 개선을 위한 노력을 구체적으로 하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각 부문에서 개발한 지표의 과학성과 객관성을 평가·검증하고 이를 DB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하는 한편 국제적인 지표들과도 비교, 호환이 가능하도록 정기적인 비교·검토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
1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한국의 건강불평등 지표와 정책과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건강불평등에 따른 질병으로 인한 사망률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상관관계가 나왔다.
보고서에 따르면 연령표준화 암 사망률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2003년 이후 꾸준히 감소했다. 2012년 남성의 표준화 사망률은 십만 명당 164.3명, 여성은 71.1명이었다.
지역별 격차의 경우 2010-2012년 전국 시군구별 남성 암 사망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경기도 과천시로 십만 명당 124.8명이었고 가장 높은 지역은 경상남도 남해군으로 246.0명이었다. 이는 전국 평균에 비해 1.39배 더 사망하고 십만 명당 69.3명이 더 사망하는 셈이다.
여성 암 사망률이 가장 낮은 구는 서울특별시 중구로 십만 명당 58.0명이었고 가장 높은 지역은 전라남도 장흥군으로 107.8명이었다. 이는 전국 평균에 비해 1.42배, 십만 명당 32.1명이 추가로 사망하는 수치이다.
30-64세 남성에서 초졸 이하 집단은 전문대졸 이상 집단에 비해 사망 위험이 2.88배, 십만 명당 153.4명만큼 높았다.
여성에서는 초졸 이하 집단이 전문대졸 이상에 비해 사망 위험이 1.98배 높았다. 65세 이상에서 초졸 이하 집단은 고졸 이상 집단에 비해 사망 위험이 1.11배 높았다.
30-64세 남성에서 육체직은 사무직에 비해 사망 위험이 2.11배 높았고 서비스·판매집은 2.51배 높았다. 여성에서는 육체직의 사망 위험이 사무직에 비해 3.95배 높았다.
보건사회연구원 김동진 부연구위원은 "점차 심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건강불평등 해소를 위해서는 먼저 우리 사회의 건강불평등에 대한 정확한 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한 정책 목표를 세우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건강불평등 관리 위원회' 같은 조직을 둠으로서 건강불평등 지표를 관리하고 모니터링하며 개선을 위한 노력을 구체적으로 하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각 부문에서 개발한 지표의 과학성과 객관성을 평가·검증하고 이를 DB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하는 한편 국제적인 지표들과도 비교, 호환이 가능하도록 정기적인 비교·검토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
'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을 예방하는 생활 속 습관 (0) | 2015.03.18 |
---|---|
암세포 성장 새로운 신호전달체계 세계 최초 규명 (0) | 2015.03.10 |
'암' 환자 며칠 내 사망 예측하게 하는 조기 증후 8가지 규명 (0) | 2015.02.11 |
암환자, 5년새 2배 가까이 증가… 성인 인구의 3.5% (0) | 2015.02.05 |
한국인 암 발생, 갑상선암>유방암>위암 순 (0) | 201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