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 고동현 기자]
말초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 기관을 연결하는 통로다. 크게 우리가 의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체신경계와 의지와는 관계 없이 자율적으로 조절되는 자율신경계로 나눌 수 있다.
이중 자율신경계는 우리가 숨을 쉬고 심장을 뛰게 하고 소화를 가능하게 하는 등 우리 몸의 대사작용을 조절한다. 마음대로 제어할 수 있는 신경계가 아니다. 심장의 활동 혹은 위장의 움직임을 억지로 멈추려 해도 할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다.
자율신경계는 크게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교감신경과 안정된 상태를 유지해주는 부교감신경으로 구성된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적절한 환경과 상황 속에서 균형을 맞춰 대사활동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항상성을 유지한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자율신경계의 균형이 깨지면 자율신경계 이상(자율신경실조증)으로 기능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자율신경계에 이상이 생기면 심혈관이나 호흡, 소화, 생식기관 등 여러 장기의 기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두통, 어지럼증, 구토, 메스꺼움, 소화불량, 위장장애 등이 나타나고 불면증, 수면장애, 만성피로, 두근거림, 무기력증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러한 증상으로 고통받다가 의료기관을 방문해서 이런저런 검사를 받았으나 특별한 이상 소견이 발견되지 않고 ‘신경성’이나 ‘스트레스’로 진단 받는 경우가 허다하다. 주위에서 단순히 꾀병으로 치부하기도 하고 의료진과 의료기관도 중대한 문제를 가진 환자로 여기지 않는 사례도 빈번하다. 하지만 환자는 이런 문제로 삶의 질이 낮아지고 고통 속에 살아갈 수도 있다.
물론 극도의 긴장이나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교감신경의 기능이 항진되면서 자율신경계 이상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스트레스가 주된 원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특별한 스트레스 상황이 아님에도 여러 가지 증상들이 반복된다면 자율신경 이상 가능성이 더욱 높다.
닥터오케이 오상민 원장의 설명에 따르면 자율신경 이상 문제를 보다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서는 자세한 문진과 이학적인 검사가 선행돼야 하며 자율신경 이상의 문제를 다룰 수 있는 전문가에게 진료를 받아야 한다. 주사치료, 도수치료, 운동치료 등 여러 가지 치료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환자의 상황에 맞춰 치료법을 신중히 선택해야 한다.
오상민 원장은 “삶의 질을 급격히 떨어뜨리는 증상으로 고통 받으면서 병원을 전전해도 원인을 알 수 없는 증상이 보인다면 자율신경계 이상을 의심해볼 수 있다”며 “여러 증상으로 고통 받고 있다면 포기하지 말고 자율신경 이상을 치료할 수 있는 병원에서 진료 받길 바란다”고 조언했다.
메디컬투데이 고동현 기자(august@mdtoday.co.kr)
'근골격계·신경계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30 어깨통증 질환 환자 늘어…‘도수치료’ 주의사항 (0) | 2021.03.19 |
---|---|
중년층 무릎관절 위협하는 퇴행성관절염, 예방하려면 ‘이것’ 신경 써야 (0) | 2021.03.11 |
어깨 아픈 이유 오십견일까? 회전근개 파열일까? (0) | 2021.03.08 |
흉추통증 환자 5명 중 1명은 60세 이상 고령층 (0) | 2021.02.26 |
보행마저 힘든 무릎 퇴행성관절염, 악화되면 인공관절수술 고려해야 (0) | 2021.02.16 |